서울 ‘분양 불패’ 깨지나… 알짜 입지 단지도 미분양 속출
금리 인하·공급 부족 시점, 하반기 반등 가능성도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서울 분양시장이 대출 규제와 탄핵 정국 여파로 냉각되며 ‘분양 불패’로 여겨졌던 알짜 입지 단지들까지 미분양 사태를 겪고 있다. 고분양가 논란까지 더해지며 계약 포기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22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서울 민간 미분양 주택은 931가구로, 전달보다 14가구 증가했다. 자치구별로는 강동구가 303가구로 가장 많았고, ▲동대문구 170가구 ▲강서구 145가구 ▲강북구 70가구 ▲광진구 57가구 등이 뒤를 이었다.
강동구의 ‘그란츠 리버파크’는 지난해 8월 첫 분양 당시 두 자릿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으나, 계약 취소가 발생하며 미분양 물량이 남았다. 이 단지는 5호선과 8호선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더블 역세권에 GTX-D 노선 연장 등 개발 호재까지 있었지만, 전용면적 84㎡ 분양가가 주변 시세보다 약 4억원 높은 19억 4900만원으로 책정돼 고분양가 논란을 빚었다.
노원구 ‘서울원 아이파크’ 역시 지난해 청약에서 2만명 이상이 몰렸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타입이 미분양으로 남았다. 1차 무순위 청약 이후에도 잔여 물량이 해결되지 않아 2차 무순위 청약까지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이 단지 역시 고분양가가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의 조사에 따르면 올해 1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전국 평균이 전달 대비 10.6%p 하락하며 2달 연속 악화됐다.
주산연은 “대출 규제 강화와 탄핵 정국으로 인한 불안 심리가 분양 시장 침체를 가속화하고 있다”며 “정국 안정과 경기 회복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회복이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미국 기준금리 인하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하락할 경우, 주택 공급 부족과 경기 개선 조짐이 맞물려 분양 시장이 6월 이전에는 반등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