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투자 확대, 연관산업 살린다”… 경제 회복 돌파구 될까
5조원 투자→전산업 5.4만명 고용 창출 가능 건산연 “연관산업 활성화로 경제 회복 앞당겨야”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침체된 국내 경제를 회복하기 위해 건설투자 확대가 절실하다는 산업연구원 보고서가 발표됐다. 건설산업은 제조업 등 연관산업의 고용과 생산 유발 효과가 높아 경기 부양의 중요한 열쇠로 평가되고 있다.
2일 산업연구원(KIET)은 ‘건설활동이 제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를 통해 건설산업이 국내 경기 회복에서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산업 생산액 10억원당 고용 유발 인원은 10.8명으로, 제조업 평균인 6.5명보다 1.7배 높은 고용 창출 효과를 기록했다. 또한 생산 유발 계수는 2.017로 전산업 평균인 1.875보다 10.5% 높은 수준이다.
지난 2020년 기준 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건설산업의 총산출액 281조원이 연관산업에서 126만 3433명의 고용과 284조원의 생산을 유발했다. 건설산업은 제조업과 관련해선 33만 8600명의 고용과 157조원의 생산 유발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제조업 전체 고용의 10.4%와 산출액의 8.9%를 차지하는 규모다. 특히 금속제품(8만 1594명), 시멘트·콘크리트(6만 900명), 고무·플라스틱 제품(3만 5000명) 등이 주요 품목으로 꼽혔다.
보고서는 건설투자를 5조원 확대할 경우 건설산업에서 3만 1575명, 연관산업에서 2만 2441명 등 총 5만 4000명의 고용 창출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이는 제조업 고용 6021명을 포함하며, 특히 금속제품(1451명), 시멘트·콘크리트(1083명), 전기기계(600명) 등 제조업 주요 품목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5조원의 건설투자는 연관산업 전체에 5조 580억원의 생산을 유발하며, 제조업에서만 2조 7970억원의 생산 효과가 기대됐다.
보고서는 경기 부양책의 일환으로 ▲하남 교산 등 3기 신도시 조기 조성 ▲서울-세종 고속도로 조기 완공 등 공공공사의 조기 집행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와 함께 ▲공사 단가 현실화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공사비 조정 ▲불합리한 비용 전가 관행 개선 등을 통해 건설공사 활성화를 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공공공사에서 사용하는 원자재, 기계·장비 등 중간재의 국산 사용 확대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성장과 경제 선순환을 유도할 필요성도 언급했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중앙회 등 관련 단체와 건설업계 간의 협력을 강화해 국내 중소기업이 안정적으로 대규모 물량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산업연구원은 “건설산업은 제조업과 연관산업을 포함해 국내 경제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는 주요 산업”이라며 “건설투자 확대를 통해 경기 회복의 발판을 마련하고, 침체된 경제를 조속히 탈출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