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장관 “북한군, 파병 아닌 총알받이 용병 불과”

“北제공 무기 미사일‧포탄 위주” 파병 배경엔 ‘김정은 정권’ 유지

2024-10-24     김성완 기자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김용현 국방부 장관이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열린 국방부 등에 대한 종합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천지일보 2024.10.24.

[천지일보=김성완 기자] 김용현 국방부장관이 24일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에 대해 “파병이 아닌 용병”이라며 “북한군은 총알받이 용병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최근 러시아에 파병을 보낸 것으로 확인되는 북한군의 동향에 대해 언급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우리 군에서 판단하는 것은 말이 파병이지 사실 파병이 아니라 용병이라는 표현이 더 적절하다”고도 거듭 주장했다.

그는 그 근거로 통상은 그 나라 군대의 지휘체계를 유지하고 군복이나 표식, 국기를 달고 자랑스럽게 활동하는데 현재 북한군은 작전권 등의 권한이 전혀 주어지지 않는 등 러시아가 시키는 대로 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김 장관은 파경 과정에 대해서도 보고했다. 그는 “북한의 러시아 파병은 지난해 9월 푸틴과 김정은의 정상회담 기점으로 큰 변화가 식별됐다”며 “정상회담 이전까지는 주로 무기 위주의 지원이었지만 정상회담이 끝난 이후인 지난해 10월부터는 병력이 파병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까지 식별된 북한이 제공한 무기는 미사일하고 포탄 위주”라며 “포탄은 1000만발에 가깝고, 병력은 주로 특수부대, 공병, 포병 등을 포함해 1만2000여명 정도 규모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파병의 배경에 대해서는 김정은 정권의 체지 유지가 크다고 판단했다. 김 장관은 “결국 자신의 독재 정권을 공고히 하고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런 것이 들통날까 봐 지금 주민들에게는 알리지 않고 쉬쉬하고 있는 상태”라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 백악관은 북한군 러시아 파병 사실을 공식 확인하며 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될 가능성을 우려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소통보좌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이 이달 초중반 적어도 병력 3천 명을 러시아 동부로 보냈다고 말했다.

또 북한군은 원산 지역에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까지 배를 타고 이동했으며 지금은 러시아 동부에 있는 여러 러시아 군사 훈련장에서 훈련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