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제종교자유위원회 “인도, 종교 폭력 심각… 특별우려국 재지정해야”

2024-05-09     임혜지 기자
인도 동북부 마니푸르주에서 발생한 부족 간 충돌로 대피한 주민들이 지난 군사주둔지역 내 임시보호소에 모여 있다.(출처:연합뉴스)

[천지일보=임혜지 기자] 인도를 ‘종교자유 특별우려국’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미국 국제종교자유위원회(USCIRF)는 최근 연례 보고서를 통해 인도에서는 기독교인을 비롯한 소수 종교 민족을 표적으로 삼는 힌두 민족주의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소수민족에는 무슬림, 시크교, 달리트, 유대인, 부족 또는 원주민 공동체가 포함돼 있다.

USCIRF는 인도 정부가 소수자에 대한 차별을 조사하는 정책연구센터의 FCRA(외국 기부 규제법) 면허를 정지시킨데 이어 인도 내 종교 충돌을 보도한 언론인을 표적으로 삼아 공격하고 있다고 했다.

또 종교 폭력 사건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USCIRF 시민단체 보고서를 인용해 지난해에만 기독교인에 대한 687건의 폭력 사건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올해 1월에는 차티스가르주에서 힌두교 폭도들의 공격으로 교회들이 파괴되고, 기독교인에 대한 강제 개종 시도가 발생했다.

마니푸르주의 폭력 사태는 더욱 심각하다. 폭력이 발생한 2023년 5월 3일 이후 500개가 넘는 교회와 2개의 유대교 회당이 파괴됐으며, 185명의 기독교 공동체의 교인들이 사망하고, 7만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유엔(UN)은 인도 경찰이 상황을 통제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인도 정부에 마니푸르 폭력 사태에 대한 정밀 조사를 요청한 상태다.

또 보고서는 일부 지역에서 이슬람 사원들이 철거되고, 소 도살법을 시행한다는 이유로 무슬림에 대한 폭력이 확산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힌두교에서는 소를 신성시 한다.

2023년 7월 인도 북부 하리아나주의 누 지구에서는 힌두교 행렬이 열린 뒤 타 종교 시설이 파괴되고 사상자가 급증하는 등 폭력으로 인해 아수라장이 된 사례도 있었다.

USCIRF는 인도의 법률 역시 종교의 자유에 대해 점점 적대적으로 변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인도의 13개 주가 ‘개종반대법’을 제정해 종교를 바꿀 수 있는 자유를 심각하게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인도에서는 힌두 민족주의자들을 중심으로 종교가 다른 커플이 결혼하는 것을 반대하는 운동이 확산하고 있어 종교 공동체 간 긴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