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쇼핑, 1분기 영업익 1125억… 전년比 63.7%↑

백화점·마트 등 쇼핑 사업부 개선 가전 시장 침체로 하이마트 부진

2023-05-11     황해연 기자
롯데백화점 본점 외관. (제공: 롯데쇼핑)

[천지일보=황해연 기자] 롯데쇼핑이 연결기준 올해 1분기 매출액 3조 5616억원, 영업이익 1125억원을 기록했다고 11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전년 대비 5.5%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63.7% 늘었다. 동기간 당기순이익은 578억원으로 16.4% 줄었다.

올해 1분기는 오프라인 소비 활성화의 영향과 사업부별 수익성 향상 노력이 실적으로 나타나면서 백화점과 마트, e커머스를 중심으로 영업이익이 개선됐으며 동남아 중심의 해외사업 역시 회복세가 지속돼 백화점, 마트 모두 매출이 증가했다.

반면 가전 시장의 전체적인 부진 및 새벽 방송 중단 등의 영향으로 하이마트와 홈쇼핑은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부진했다.

벡화점은 2023년 1분기 매출 7960억원, 영업이익 1310억원을 기록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7.0%, 21.1% 증가했다. 특히 여성, 남성 등 패션 상품군의 매출이 고신장하면서 기존점 매출이 6.3% 증가했다. 해외 백화점은 동남아 지역 엔데믹 영향으로 매출이 10.5% 증가했다.

올해 백화점은 최근 증가하는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집객 프로모션을 확대해 상권 내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하반기에는 베트남 하노이에 ‘롯데몰 웨스트레이크’를 오픈, 향후 베트남 사업에 집중할 계획이다.

마트는 올해 1분기 매출 1조 4470억원, 영업이익 320억원으로 매출은 2.4%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91.8% 급증했다. 슈퍼는 매출 3260억원으로 6.7% 줄어든 반면 영업이익 84억원으로 234.8% 증가한 실적을 기록했다. 고금리, 고물가 트렌드가 장기화됨에 따라 주 고객층인 중산층의 소비가 둔화하면서 매출이 다소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그간 행해왔던 점포 및 인력 효율화, 판관비 개선 작업이 성과를 나타내며 모두 증가했다.

마트와 슈퍼는 올해 본격적인 시너지 체계 구축을 통해 그로서리 사업의 혁신을 이루고 있다. 이미 마트와 슈퍼의 통합 소싱조직을 구축하고 상품코드의 통합을 진행 중이며 완료 시 소싱 효율 및 손익 개선 효과가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e커머스는 매출 290억원으로 10.5% 늘었으나 20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부터 수익성 개선에 집중한 결과 3개 분기 연속으로 영업 적자가 큰 폭으로 줄었다. 지난해부터 선보이는 뷰티, 명품, 패션 버티컬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운영되며 버티컬몰의 매출이 24% 증가했다.

올해도 IT 역량 내재화, 물류비 절감을 위한 배송 효율화, 고마진 상품 중심 운영, CS 대응 시스템 고도화 등을 통해 적자 축소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이마트는 올해도 금리 인상에 따른 부동산 경기 침체로 가전시장의 전체적인 부진이 심화되는 상황이다. 매출은 6261억원으로 25.6% 줄었으며 260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홈쇼핑은 매출 2310억원, 영업이익 40억원으로 각각 16.0%, 87.6% 감소했다. 홈쇼핑의 경우 산업 전반적인 어려움을 겪는 데다 새벽방송 정지 영향으로 실적이 부진했다.

올해 하이마트는 강도높은 구조조정을 통해 손익 구조 효율화 작업에 집중하고 홈쇼핑은 수익성 개선에 집중, 다양한 신사업 투자 확대를 통해 전문적인 미디어 커머스 기업으로 도약해 나갈 계획이다.

컬처웍스는 54.3% 늘어난 1120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나 11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올해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 작품의 흥행으로 입장객이 크게 늘면서 매출이 54.3% 증가했고 이에 따라 영업이익 적자폭도 전년 대비 184억 개선됐다. 베트남 역시 로컬영화 흥행으로 매출이 증가했다.

김원재 롯데쇼핑 재무본부장은 “2023년 1분기 롯데쇼핑 실적은 백화점, 마트, 이커머스 등 쇼핑 사업부를 중심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개선됐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있다”며 “올해는 하노이 롯데몰 웨스트레이크를 성공적으로 오픈하고 국내 사업도 내실을 다지기 위한 노력을 통해 실적 개선에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