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카트’ 염정아 “관객은 다 알아, 진짜 연기했다”
[천지일보=이현정 기자] 머리채는 물론 장정들의 손에 멱살이 잡혀 던져지고, 자칫 위험할 수 있는 물대포를 맞아가면서도 처절하게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한 여인. 이 여인이 그동안 드라마 ‘로열패밀리’나 ‘내 사랑 나비부인’ 등에서 화려한 면모를 보여줬던 염정아라는 사실에 ‘과연 어떤 영화일까’라는 궁금증이 생겼다.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의 희생과 성장을 다룬 영화에 염정아가 주인공으로 나온다. 그녀의 필모그래프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던 소재다. 과연 염정아가 전하는 비정규직은 어떨까. 영화 ‘카트’를 통해 염정아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지난달 27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인근 카페에서 염정아를 만났다. 언론 시사회를 통해 미디어에 미리 공개된 영화 ‘카트’에서 염정아는 생활밀착형 연기로 호평을 받았다.
영화 전개상 대립하는 신에서는 실제로 머리채를 잡히고 던져지고 물대포를 맞아가며 싸우는 모습을 보여줬다. 현장에서는 염정아가 더 세게, 더 강하게 해달라는 주문을 했다는 후문이다.
안 그래도 고생일 텐데 왜 더 강하게 다뤄줄 것을 요구했느냐는 질문에 염정아는 “리얼하게 하지 않으면 관객들에게 영화가 와 닿지 않는다”며 심플하게 대답했다.
염정아는 “사실 아픈지도 몰랐다. 물대포 신에서도 ‘물 더 쏴야 하는 거 아니야? 부족해~ 부족해’라고 할 정도였다. 얼굴 위주로도 쏘라고 했더니 그러면 표정 담는 데 어렵다고 하더라. 얼굴이 뭉개지는 장면까지 염두에 뒀는데 그렇게까지 안 하시더라”며 아쉬워했다.
영화 ‘카트’의 연출을 맡은 부지영 감독이 주문하는 연기 디렉션도 만만치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염정아와 부지영 감독 모두 아이를 키우는 엄마의 마음으로 영화를 바라보는 지점이 닮아 영화 속 ‘선희’를 잘 표현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과연 ‘카트’가, 그리고 염정아가 표현하고 싶은 건 무엇이었을까. 영화는 비정규직 그리고 여성 노동자에 대해 이야기한다. 상업영화로는 처음 다루는 소재다.
상업영화에서 처음 다루는 소재라 감독과 배우 그리고 관객 모두 예민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하지만 감독과 배우 모두 ‘오버하지 않고 현실적 이야기에 집중’했다.
“영화가 세게 표현된 건 없다. 내가 생각하는 ‘카트’는 현실적이고 실제 주변 인물 중 한 사람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사실적이라 더 감동적이다. 아마 비정규직 소재만으로 자극적인 표현들이 많았다면 출연을 망설였을 거다. 그러나 ‘카트’를 하게 된 이유는 잔잔한 우리 이야기 같아서였다.”
영화 속 ‘선희’는 염정아가 지금껏 맡아 온 역할과는 많이 다르다. 대부분 생계와는 상관없이 화려한 부분이 강조된 엄마였다. 그러나 ‘선희’는 오로지 자식을 키우고 먹여 살리기 위해서 24시간이 모자를 지경이다.
염정아는 이런 ‘선희’와 같은 역할을 제안 받아 본 적이 없었다. 하고 싶지 않아서 안 한 것도 아니다. 그동안 그녀가 보여준 도회적인 이미지가 굳혀져 생계형 캐릭터에 염정아를 떠올리지 못했을 것이리라.
이러한 속사정을 안고 처음 ‘카트’ 시나리오를 받았을 때 염정아는 매우 기뻤다고 한다. 그녀는 “새로운 역을 할 수 있다는 기쁨이 컸다. 그래서 시나리오 받자마자 바로 출연 결정을 내렸다. 이 영화를 통해서 다양한 연기를 할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들었다”고 회상했다.
염정아는 이번 영화에서 ‘절대 오버해선 안 된다’는 분명한 선을 세웠다. 연기에 대한 책임감 때문이다. ‘진짜 있는 일’을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해서였다. ‘내 이야기, 우리 엄마 이야기’가 될 수 있기에 오버하지 않고 ‘진짜 이야기’를 들려주는 데 모든 신경을 쏟았다.
잔잔하지만 깊은 울림이 있는 영화 ‘카트’, 여기서 기자는 다른 염정아를 만나게 돼 기쁘다는 생각이 들었다.
국내 상업영화 사상 처음으로 비정규직 문제를 다룬 영화 ‘카트’는 오는 13일 개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