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추행’ 회장 영입에 자사주 매입 강요 논란까지

2014-04-13     유영선 기자

동부그룹, 더딘 구조조정 속 잡음 요란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구조조정을 진행 중인 동부그룹이 잇따른 잡음에 시달리고 있다.

여기자 성추행 사건으로 물의를 빚은 최연희 전 국회의원(70)을 건설·농업 부문 회장으로 영입해 논란이 이는가 하면 계열사 임직원들에게 자사주 매입을 강요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동부그룹은 다른 기업과는 달리 4인 회장 체제로 구성돼 있다. 김준기 회장을 중심으로 오명 회장, 윤대근 회장, 최연희 전 의원 총 4명의 회장이 각자 분야를 나눠 책임경영을 하고 있다.

최 전 의원의 경우 지난 2006년 국회의원 시절 한 언론사 여기자의 가슴을 만진 혐의로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은 후 항소심에서 선고유예 판결을 받은 범죄경력이 있다.

이에 최 전 의원의 영입에 대해 관련 업계에선 우려의 시각으로 지켜보고 있다. 그의 과거 부도덕한 행실이 동부그룹의 이미지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다.

최 전 의원은 동부건설, 동부엔지니어링, 동부발전, 동부팜한농 등 주요 계열사를 맡아 한 축을 맡게 된다. 특히 동부그룹이 동해, 삼척 등 강원도에 기반을 둔 사업이 많은 만큼 의원 시절 이곳을 지역구로 두고 활동한 최 전 의원의 막강한 영향력을 보고 영입한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게다가 최 전 의원은 서울대 법학과 출신 법조인으로 맡은 업무와 직접적인 연관도 없다. 이에 김 회장과 유년시절부터 맺어온 친분으로 영입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여기에 동부제철, 동부건설, 동부화재 등 동부그룹 계열사 임직원들이 자사주 매입을 강요받았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동부건설과 동부제철은 재무구조 개선작업의 일환으로 유상증자를 추진하고 있다.

동부건설과 동부제철이 추진하는 700억 규모의 유상증자와 관련한 주식 청약 의향서를 그룹 측이 계열사 임직원들에게 전달했다는 것이다. 일단 동부그룹 측은 투자를 권유했을 뿐 강요는 없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동부 계열사 임직원들 누구나 개인 투자자 자격으로 증자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게 그룹 측의 주장이다.
이런 가운데 동부그룹은 구조조정의 지지부진으로 채권단과 금융감독원의 압박을 받고 있다.

동부그룹은 지난해 11월 3조 원 규모의 자구계획안을 발표한 이후 동부하이텍, 동부제철 인천공장, 동부발전당진 등을 알짜 계열사를 매물로 내놨지만 여전히 구조조정은 답보상태에 있다.

금감원과 채권단이 볼 때 그룹 측이 핵심 자산 매각을 꺼리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그룹 측은 “금감원이 구조조정을 재촉하고 있지만 현재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