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태위태 ‘野’
이석기 사태 이후 향후 진로 고민
[천지일보=명승일 기자] ‘이석기 사태’ 이후 야당이 ‘가시밭길’을 걷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통합진보당은 최대의 위기를 맞았다는 분석이 많다. 당내에선 이석기 의원의 체포동의안이 국회에서 통과된 이후 종북정당이라는 이미지로 낙인찍힐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향후 공안당국의 수사 강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통합진보당은 국정원을 규탄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여론의 반응은 냉담하기만 하다.
여당 일각에선 통합진보당을 해산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법무부는 특히 지난 6일 통합진보당 해산 청원을 검토하기 위한 ‘위헌정당·단체 관련 대책 태스크포스(TF)’를 꾸렸다. 이석기·김재연 의원에 대한 자격심사도 조만간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당내에선 지도부 교체론과 쇄신론 등이 힘을 얻으면서 당을 뿌리부터 재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장외투쟁에 들어간 민주당의 고민도 만만치 않다. ‘이석기 사태’로 장외투쟁이 여론의 관심을 받지 못하는 데다, 국정원 개혁의 목소리가 묻히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통합진보당과 철저히 거리를 두고 있다. 여당에서 ‘야권연대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지만, 선 긋기를 하는 모양새다. 새누리당이 민주당을 겨냥해 종북색깔을 덧칠하려고 한다며 정치적인 공세라고 반박하는 모습이다.
이석기 의원의 체포동의안 처리를 당론으로 결정한 데 대해서도 종북세력이라는 지적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여기에는 이석기 사태를 장기화함으로써 정국의 주도권을 선점하려는 여당의 전략적 판단에 제동을 걸겠다는 전략이 깔렸다.
정의당 역시 통합진보당과 거리를 두고 있다. 그러면서 책임론을 제기하는 여당에 대한 역공에 나섰다. 앞서 심상정 의원은 “새누리당이 이번 사건을 빌미로 종북몰이, 낙인찍기, 색깔론의 확산에만 열을 올린다면 국정원 개혁의 열망을 외면하는 책임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처럼 ‘이석기 사태’ 이후 민주당, 정의당, 통합진보당은 당분간 향후 진로를 놓고 깊은 고심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이석기 사태 쟁점화로 대야공세의 고삐를 죄고 있다. 민주당에 대해 이석기 의원 등 통합진보당의 원내 진출에 대한 책임론을 고리로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야권연대를 무력화하면서 장외투쟁 중인 민주당을 국회 안으로 끌어들이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개점휴업 중인 정기국회도 야당 설득의 지렛대로 삼고 있다. 정기국회 정상화를 위해선 민주당의 국회 복귀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8일 “민주당의 장외투쟁 때문에 벌어지고 있는 이 공회전 국회를 도대체 언제까지 보고 있어야 하는지 국민은 답답하다”며 국회 복귀를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