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과학벨트 수정안 반대 “공론화 거쳐야”

“상용화가 목표 되면 단기적인 성과에만 집착… 장기적인 미래 볼 수 없어”

2013-07-05     김지현 기자

▲ 안철수 의원이 5일 대전 유성구 테크노동 대덕이노폴리스벤쳐협회에서 열린 벤처기업인들과의 간담회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 연합뉴스)

“상용화 목적으로 기초 과학 투자, 잘못된 것”


[천지일보 대전=김지현 기자] 무소속 안철수 국회의원이 5일 대전을 방문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과학벨트 수정안’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이날 오후 안철수 의원은 대전 유성구 가정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가진 연구원들과의 간담회에서 두 가지 이유를 들어 지난 3일 미래창조과학부와 대전시 간의 협약에 대해 반대한다고 언급했다.

안 의원은 이 자리에서 “과학벨트는 국책사업으로 공론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런 과정 없이 지자체와 행정부 간의 협의로 결정했다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다”면서 “대전 충청권의 현안이자 미래를 위한 것인 만큼, 변경하려면 이해를 구한 다음에 전국적인 공론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두 번째 반대하는 이유로 안 의원은 “과학벨트 조성 계획을 세울 때부터 탐탁지 않았는데 상용화를 목적으로 기초 과학을 투자한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면서 “상용화라는 목표로 연구 과제를 수행하면 단기적인 성과에 집착하게 되고 장기적인 미래를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이어 “애초 계획이나 현재의 수정안 모두 상용화에 포인트를 맞췄다는 게 문제”라면서 “과학벨트 사업이 지역개발 논리에 따라서 또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바뀐다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 무조건 밀어붙이기식으로 진행할 것이 아니라 공론화 과정을 통해 다시 재정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안 의원은 대전 유성구 관평동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 사무국 회의실에서 벤처기업인들과 만나 기업을 경영하면서 느낀 고충을 청취하기도 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국가경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대한 분산 투자로 위기를 줄일 수 있다”면서 ‘중소·벤처기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이날 오후 안철수 의원은 평송청소년 수련원에서 ‘한국사회 구조개혁과 대전충청지역 혁신을 위한 새로운 모색’이란 주제로 ‘정책네트워크 내일 심포지엄’을 연다.

▲ 안철수 의원이 5일 대전 유성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열린 간담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