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과학벨트 문제, 정쟁 대상 되면 안 돼”
[천지일보 대전=김지현 기자] 3일 염홍철 대전시장이 7월 정례 브리핑 자리에서 대전시정의 현안과 계획에 대해 발표하면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미래부와의 과학벨트 관련 문제’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염홍철 시장은 “오늘 미래부와 과학벨트 조성 협력에 대한 MOU가 예정돼 있다. 큰 틀은 만들어졌으며 특히 4대 원칙을 고수하면서 진행할 예정”이라면서 “무엇보다도 정치권에서 많은 지원이 있어야 할 부분이지만 절대 이 문제가 정쟁의 대상이 되면 안 된다”고 힘주어 말했다.
미래부에 대전시가 제시한 4가지 원칙은 ▲둔곡 신동지역에 고시된 예정면적 축소 불가 ▲중이온가속기 부지 국고 매입 ▲창조경제 핵심시설 조성 ▲대덕특구의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방안 국가지원 등이다.
염 시장은 최근 박병석 부의장이 ‘대전시가 먼저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엑스포과학공원 입주를 미래부에 제안했다’는 주장에 대해 “당연히 미래부가 먼저 제안했으며 대전시는 4대원칙을 주장한 것이 팩트”라면서 “미래부에서 먼저 제안했다는 해명 자료를 냈으며 대전시에서도 이미 보도자료를 냈다”고 밝혔다.
특히 염 시장은 이번 미래부와의 협력관계에서 대전시 측의 ‘4가지 득’이 있다면 ▲과학벨트가 수년간 지지부진했지만 앞으로 정부의 협조로 정상추진될 수 있다는 것 ▲엑스포 과학공원의 그림이 완성돼 적자 줄일 수 있는 것 ▲산업 용지 부족 면에서 미래부와 상당한 공감을 얻어 하나하나 추진될 것 ▲대덕연구개발 특구의 인프라 정상 구축 등이라고 명시했다.
이외에도 이날 염 시장은 추진 중인 대전시정 가운데 일자리 창출, 원도심 활성화, 시민대학의 활발한 운영, 대전첨단융합디자인센터 유치 건립 등에 대해 발표했다.
대전첨단융합디자인센터는 디자인 개발지원은 물론, 디자인 관련 정보 지원, 기획, 마케팅에 이르는 통합적인 디자인 서비스 제공을 통해 산업의 생산성 향상과 고부가치화를 추구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지난해 3월 대전시는 디자인 산업 발전 로드맵을 수립했으며, 올해 3회에 걸쳐 지경부 및 한국디자인진흥원을 방문해 ‘대전첨단융합디자인센터’ 건립의 필요성을 건의한 바 있다. 또 대전발전연구원에 산업부(5억 원)와 기재부에 디자인센터 건립관련 용역비를 편성해 제출했다.
한편 대전시 측은 미래부와 과학벨트 조성 협력에 대한 MOU 내용은 이날 오후 자세한 발표가 있을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