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미래부 제안 ‘4개 원칙’ 안에서 수용
“과학벨트 축소 아냐… 사이언스센터와 시민활용공간 늘어나”
염홍철 대전시장 “과학벨트 부지매입비, 절대 부담 안 할 것”
“엑스포과학공원, 국책사업 유치로 경제 활성화되면 부지 제공 가능”
“롯데테마파크, 엑스포과학공원과 성격 안 맞아 제3의 부지 물색 중”
[천지일보 대전=김지현 기자] 염홍철 대전시장이 13일 기자회견을 열고 ‘미래창조과학부의 과학벨트 관련 제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이날 염홍철 시장은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엑스포과학공원 입지’에 대한 미래부의 제안을 받아들이기로 했다”면서 “이미 밝혔던 ‘4개 원칙’이 수용되면 과학벨트에 대한 미래부의 제안을 받아들일 것”이라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대전시는 ▲대전시 신동·둔곡지구 전체면적 104만 평 축소 불가 ▲과학벨트 거점지구 부지 매입비에 대한 전액 국고 부담 ▲사이언스센터 등 창조경제 핵심시설 조성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방안 국가정책에 반영 등 ‘4개 원칙’을 보완한 요구사항에 대한 정식 공문을 14일까지 접수하기로 했다.
이어 염홍철 시장은 ‘과학벨트 축소 우려’ 문제에 대해 “엑스포과학공원 18만 평이 그대로 유지되며 오히려 사이언스센터와 시민활용공간 등이 늘어나기 때문에 과학벨트가 축소되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중이온가속기나 기초과학연구원(IBS)을 없애거나 축소하는 게 아니다”라고 분명히 밝혔다.
염 시장은 또 “미래부 제안의 핵심은 엑스포과학공원에 IBS가 입주하고 중앙정부가 사이언스센터 등 창조경제와 연계해 대전발전의 기회를 주겠다는 것인 만큼 오해를 풀기 바란다”고 말했다.
‘엑스포과학공원 부지의 정부 무상임대’ 관련 논란에 대해 염 시장은 “HD드라마타운이나 교통문화센터처럼 국가가 사업을 진행하고 부지는 시가 임대형식으로 제공하는 사례와 같이 국책사업 유치로 경제활성화 효과가 있다면 부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관례에서도 벗어난 게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염 시장은 이에 대해 “아무 조건 없이 과학연만 넣으라면 받아들이기 어렵지만 국책사업으로 엑스포과학공원에 유치하면 부지의 무상 사용은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최근 논란이 대두되고 있는 ‘과학벨트 부지매입비’에 대해 염 시장은 “미래부에서 대전시에 과학벨트 부지매입비 1원도 요청한 게 없으며 대전시도 절대 부담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염 시장은 시민이 궁금해하고 있는 ‘롯데테마파크 문제’에 대해선 “롯데테마파크를 희망하는 시민들이 상당히 많지만 중앙정부 입장은 특구법 취지에 맞지 않는다며 허가하지 않는 상황”이라면서 “롯데테마파크가 대전에 들어와서 안 된다는 것이 아니라 과학의 상징인 엑스포과학공원에 들어오는 것은 성격이 맞지 않아 다른 제3의 부지를 물색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대전시는 건의 예정인 ‘대덕특구의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방안’을 최대한 국가 정책에 반영해 국가의 신성장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에 관련해 대전시는 창업학교, 대덕벤처창업마을, 대덕창조펀드조성, 창업코디네이션 센터 설립, 대덕커넥스 활성화, 창조경제 e-벨리 조성 등에 주력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