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대덕특구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 정부에 건의
염홍철 시장 “대전시, 창조경제 조기 실현의 최적지”
“이미 준비된 인적‧물적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해야”
[천지일보 대전=김지현 기자] 염홍철 대전시장이 3일 정례브리핑에서 ‘대덕특구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 방안을 정부에 제출, 건의할 계획에 대해 밝혔다.
이날 염 시장은 ‘대덕특구가 창조경제의 공간‧기능적 전초기지가 돼야 하는 이유’에 대해 “대덕연구단지 40년의 역사가 창조경제의 토대가 된다”면서 “이미 준비된 인적‧물적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해야 할 것이며 대덕특구 및 과학벨트 전체가 한국 창조경제의 전진기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염 시장은 “대전시가 창조경제 조기 실현의 최적지”라면서 “대덕구를 중심으로 40년간 연구개발의 노하우와 카이스트 등 5대 대학, 30개의 정부출연연, 2만여 명의 석‧박사, 1300여 개 기업 등 창조경제 인프라가 이미 구축돼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한 대전시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은 “대덕특구는 국내 최대 최고의 R&D특구로 ‘창조경제 전진기지’로서 이미 씨앗(지식과 기술)이 뿌려진 상태로, 이제 결실을 볼 수 있는 양분만 주어진다면 조기에 큰 성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에 창조경제 전국 확산의 최적지”라는 것이다.
대전시는 과학벨트와 대덕특구를 연계한 신성장 동력 창출 거점지역이며 세종시로의 정부부처 이전으로 긴밀한 연계 협력 추진이 유리하다고 보고 있다. 중앙정부의 정보 공유 등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로 효율적인 창조경제 추진을 도모하는데 좋은 여건이라는 것이다.
대전시는 ‘창조경제 전진기지의 단계별 조성’ 전략으로 ▲창조적 아이디어․상상력 발굴 ▲과학기술과 아이디어의 접목 ▲창업 활성화, 성장 지원 ▲창조경제 인프라 구축 ▲ ICT융합의 국방벤쳐산업 등 집중 육성 등을 내놓았다.
그동안 대전시는 추진전략의 구체화 및 보완을 위해 대전시 T/F 운영, 대전시 과학기술위원회 의견 수렴․자문(3.28), 산학연의 토론회(4.1) 등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대전시는 이르면 4월 중, 늦어도 5월 중에 미래창조과학부에 대전시의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 방안’을 제시, 건의할 예정이다.
특히 대전시는 실현 가능한 ‘창조경제 전진기지화’를 위해 대정부 협력과 공감을 유도하는데 언론, 시민단체 등의 추가적인 의견을 수렴하고 분야별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추후 미래창조과학부의 창조경제정책을 참고해 추가 과제를 발굴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대전시는 시의 여건과 전망 등을 고려한 ‘창조경제 추진 모델’을 정립하고 실천전략을 마련해 창조경제 구현의 모델인 미국의 실리콘밸리 사례연구도 접목할 예정이다.
한편 염 시장은 최근 박성효 의원이 제안한 엑스포과학공원을 중심으로 한 미래창조과학단지와 관련해 “2만여 평에 달하는 엑스포과학공원이 1년에 100억 이상 적자가 나고 있는 것을 대전시가 감당하고 있다”면서 “중앙정부 차원에서 엑스포과학공원을 재창조한다면 가장 바람직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염 시장은 “대전시에서 국책사업으로 추진했으면 좋겠다는 아이디어와 의지를 이미 전달했지만, 지난 20년간 중앙정부의 지원이 없었던 것으로 보아 정부 지원에 큰 기대를 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