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상욱 역사 칼럼니스트

not caption

관자(管子) 제분(制分)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돈을 벌려고 정치를 하는 사람은 정치를 한다고 반드시 부자가 될 수는 없다. 부자가 되는 일을 해야 부자가 될 수 있다. 부를 이용해 강자가 되려고 해도 강해지지 않는다. 반드시 강자가 되는 방법을 알아야 강자가 될 수 있다. 강자라고 반드시 모든 적과 싸워 이길 수는 없다. 승리의 방법을 알아야 승자가 될 수 있다. 이겼다고 반드시 상대를 제압하는 것은 아니다. 제압하기 위해 상대와 어떻게 이득을 나누는지를 알아야 완벽하게 제압을 할 수가 있다.”

모든 일은 그렇게 되는 원인을 알아야 제대로 처리할 수가 있다는 말이다. 지피지기(知彼知己)란 포정(庖丁)이 소를 잡을 때 칼을 다루는 것에는 반드시 남음이 있어야 한다는 것과 마찬가지로 어떤 상황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정해우는 ‘장자(莊子) 양생주(養生主)’에 등장하는 유명한 우화이다. 포정이란 요리사 정이라는 뜻이고 해우란 소를 잡는다는 뜻이다. 백정이 소를 잡는 이야기이지만 바로 그 비천한 일을 사례로 도(道)를 설명했다. 장자 특유의 풍자와 해학이 이 구절에 잘 드러나 있다.

포정이 혜문공(惠文公)을 위해 소를 잡았다. 그는 소의 머리와 다리를 어깨에 올려놓고, 소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쪽 무릎으로 누르면서 고기를 잘라냈다. 고기가 가죽과 뼈에서 떨어져 나가는 소리가 경쾌하게 들렸다. 그 소리가 마치 상림(桑林)에서 연주했던 무곡(舞曲)이나 경수(經首)에서 연주했던 훌륭한 음악과 같았다. 혜문공은 감탄했다.

“참으로 훌륭하구나! 사람의 기술이 어찌 그러한 경지에 이를 수 있는가!”

“저는 기술보다 도가 더 귀합니다. 처음 소를 잡을 때는 소만 보였습니다. 3년이 지나자 소는 보이지 않고 갈라내야 할 부분만 보였습니다. 지금은 마음으로 소를 대하지 눈으로 보지는 않습니다. 눈과 손과 마음의 작용은 멈추고, 저도 알지 못하는 신기한 기운이 작용합니다. 소의 몸을 구성하고 있는 조직을 따라, 살과 뼈와 가죽 사이에 있는 틈에 칼을 넣어 갈라 낼 수 있는 부분에서 움직이게 합니다. 단단한 뼈와 살이 있는 곳은 무리하게 잘라본 적이 없습니다. 큰 뼈를 억지로 자르려고 했겠습니까? 요즈음 세상에서 제법 소문이 난 요리사도 1년에 한 번은 칼을 바꿉니다. 고기를 잘못 잘라 칼날이 무뎌졌기 때문입니다. 보통 요리사들은 한 달에 한 번은 칼을 바꿉니다. 억지로 뼈를 잘라서 칼날이 망가졌기 때문입니다. 이 칼은 19년이나 사용했습니다. 그동안 4천마리의 소를 잡았지만, 보시다시피 막 숫돌에 간 것처럼 예리합니다. 뼈와 살이 붙어 있는 관절에는 틈이 있고, 칼날은 두께가 없을 정도로 얇습니다. 두께가 없는 것을 틈에 넣기 때문에 칼날을 자유자재로 움직여도 넉넉하게 여유가 남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칼날을 집어넣을 때마다 긴장됩니다. 시선은 한 곳에 집중되고, 손놀림도 둔해지며, 칼의 움직임마저 흔들립니다. 그러나 흙더미가 무너지듯 저절로 고기가 해체돼 밑에 수북하게 쌓입니다. 저는 칼을 잡고 멍하니 서서 제가 한 일도 잘 모릅니다. 한참 지나고 나면 비로소 만족해 칼을 깨끗이 닦아 제자리에 둡니다.”

포정해우에 관한 이야기를 길게 늘어놓은 이유는 정보의 중요성과 그것을 자유자재로 이용할 줄 아는 능력의 필요성을 강조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포정이 소의 신체적 구조에 대한 모든 것을 이해하지 못했다면 19년 동안 4천마리의 소를 잡도록 칼을 바꾸지 않을 수는 없었을 것이다. 유능한 지략가는 지금 당장 필요한 정보만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많은 정보를 수집할수록 다양한 전략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포정이 칼을 다룰 때 넉넉한 공간이 남아있었다는 말은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했다는 의미일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