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PEF 주요 현황 (제공: 금융감독원) ⓒ천지일보 2021.7.21
국내 PEF 주요 현황 (제공: 금융감독원) ⓒ천지일보 2021.7.21

제도 개편 이후 2.7배 성장

작년 신규 자금모집액 18조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지난 2015년 사모펀드 제도가 개편된 이후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PEF)’의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PEF는 총 855개, 약정액 97조 1000억원으로 사모펀드 제도 개편 5년 만에 2.7배 성장했다.

2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0년 PEF 동향 및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PEF는 총 855개로 사전 등록제의 사후보고제 전환 등 PEF 제도 개편이 있었던 2015년(316개) 대비 2.7배 성장했다. 당시 금융당국은 사전등록제였던 PEF를 사후보고제로 전환하고 복층형 SPC(특수목적법인) 활용을 허용하는 등 규제를 대폭 완화했다.

PEF는 헤지펀드와 달리 기업 경영권을 확보해 사업이나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지분을 다시 팔아 수익을 창출하는 사모펀드다.

PEF는 2015년 316개, 2016년 383개, 2017년 444개, 2018년 580개, 2019년 721개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연중 신설된 PEF는 2015년 76개, 2016년 109개, 2017년 135개, 2018년 198개, 2019년 206개, 2020년 218개 등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투자자가 PEF에 출자를 약정한 금액과 실제 이행한 금액은 각각 97조 1000억원, 70조 6000억원으로 2015년 대비 1.7배, 1.8배 증가했다. 신설 PEF의 약정액 또한 17조 9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조 3000억원 늘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중 프로젝트 PEF는 168개(77.1%)로, 블라인드 PEF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투자 건을 발굴한 후 이를 바탕으로 자금을 유치하는 데에 기인했다. 프로젝트 PEF는 투자 대상 기업이 사전에 정해져 있어 설립 때 투자처를 정하지 않는 블라인드 PEF에 비해 출자 이행이 빠르다.

작년 말 업무집행사원(GP)은 337개로, 1년 전보다 33개 늘었다. 전업 GP(245개)는 꾸준히 증가해 전체의 72.7%를 차지했다. 반면 금융회사 GP(36개)는 감소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작년 PEF의 투자집행 규모는 18조 1000억원으로, 직전 5년 평균 투자집행 규모(12조 8000억원)을 웃돌았다. 1년 전에 비하면 2조 1000억원 늘어 4년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PEF의 투자대상 기업 565개 중 국내 기업은 488개로 86.4%를 차지했다. 금액 기준으로는 국내 12조 6000억원, 해외 5조 5000억원이다.

지난해 투자회수액은 17조 7000억원으로 전년보다 6조원 늘었다. 해산 PEF는 91개로 전년보다 26개 많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