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유구 노출 후 전경 (제공:문화재청) ⓒ천지일보 2021.7.8
화장실유구 노출 후 전경 (제공:문화재청) ⓒ천지일보 2021.7.8

[천지일보=장수경 기자] 조선의 궁궐인 경복궁에서 정화시설을 갖춘 150여년 전의 대형 화장실이 확인됐다. 이는 현대 정화조와 유사한 시설을 갖춘 것으로 궁궐 내 화장실 유구로는 최초 발굴이다.

8일 문화재청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소장 김인규)는 경복궁 흥복전에서 열린 언론간담회를 통해 이같이 공개했다.

경복궁 화장실의 존재는 ‘경복궁배치도(景福宮配置圖)’ ‘북궐도형(北闕圖形)’ ‘궁궐지(宮闕志)’ 등에서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다. 문헌에 따르면, 경복궁의 화장실은 최대 75.5칸이 있었는데, 주로 궁궐의 상주 인원이 많은 지역에 밀집돼 있었으며, 특히 경회루 남쪽의 궐내각사(闕內各司)와 동궁(東宮) 권역을 비롯해 현재의 국립민속박물관 부지 등에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발굴된 화장실은 동궁 권역 중에서도 남쪽 지역에 위치하며 동궁과 관련된 하급 관리와 궁녀, 궁궐을 지키는 군인들이 주로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동궁 권역의 건물들은 1868년(고종 5년)에 완공됐으나, 일제강점기인 1915년에 조선물산공진회장이 들어서면서 크게 훼손됐다.

화장실유구 노출 후 전경 (제공:문화재청) ⓒ천지일보 2021.7.8
화장실유구 노출 후 전경 (제공:문화재청) ⓒ천지일보 2021.7.8

발굴된 유구가 화장실이라는 것은 ‘경복궁배치도’와 ‘궁궐지(宮闕志)’의 기록으로 알 수 있다. 또한 발굴 유구의 토양에서 많은 양의 기생충 알(g당 1만 8000건)과 씨앗(오이‧가지‧들깨)이 검출됐다. ‘경복궁 영건일기(景福宮 營建日記)’의 기록과 가속 질량분석기(AMS, Accelerator Mass Spectrometer)를 이용한 절대연대분석, 발굴한 토양층의 선후 관계 등으로 볼 때, 이 화장실은 1868년 경복궁이 중건될 때 만들어져서 20여 년간 사용하였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번에 발굴된 화장실의 구조는 길이 10.4m, 너비 1.4m, 깊이 1.8m의 좁고 긴 네모꼴 석조로 된 구덩이 형태다. 바닥부터 벽면까지 모두 돌로 되어 있어 분뇨가 구덩이 밖으로 스며 나가는 것을 막았다. 정화시설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입수구(入水口) 1개와 물이 나가는 출수구(出水口) 2개가 있는데, 북쪽에 있는 입수구의 높이가 출수구보다 낮게 위치한다.

이번 경복궁 화장실 유구의 발굴은 그동안 관심이 적었던 조선 시대 궁궐의 생활사 복원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화장실유구 내부퇴적양상 (제공:문화재청) ⓒ천지일보 2021.7.8
화장실유구 내부퇴적양상 (제공:문화재청) ⓒ천지일보 2021.7.8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