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정상토론세션에 참석해 의제 발언을 하고 있다. 2021.05.31.
[서울=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정상토론세션에 참석해 의제 발언을 하고 있다. 2021.05.31.

68명 정상급 인사 참여 P4G 정상회의 주재한 文
선진국·개도국 참여한 서울선언문 채택 이끌어내
과거 개발경험+그린뉴딜 경험…선도국 입지 다져
G7, G20, COP26 등 기후외교 국면까지 협력 확장
COP28 한국 유치 의사 밝히며 롤모델 역할 준비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에서 처음 주최한 기후환경 분야 다자회의인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P4G 서울정상회의)를 계기로 기후대응 선도국 도약을 위한 입지를 다진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회의를 성공적으로 이끌면서, 임기 후반 본격 전개될 기후외교의 중심에 설 수 있게 됐다는 기대 섞인 관측도 고개를 든다.

문 대통령은 지난 2018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1차 정상회의(5명, 한국·덴마크·네덜란드·베트남·에디오피아)의 규모를 훨씬 뛰어넘은 68명이 참석한 2차 P4G 서울정상회의를 주도하며, 30~31일 이틀 동안 이뤄진 정상회의 결과물로 '서울선언문' 채택을 이끌어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서울선언문을 통해 기후위기와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한 국제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평소 관심사인 해양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해 기후변화 선도국과 개발도상국으로부터 광범위한 동참을 이끌며 기후변화 대응 선도국으로서의 리더십을 보였다.

문 대통령은 전날인 30일 개회사에서도 "플라스틱과 일회용품이 바다로 흘러가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고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며 "한국도 국토의 3면이 바다인 해양국가로서 유엔 차원의 해양 플라스틱 관련 논의가 조속히 개시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은 31일 정상 토론세션 의제발언에서도 "한국은 2019년 한국에서 개최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해양쓰레기 관리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고, 올해부터 필리핀, 인도네시아와 해양쓰레기 관리 역량을 높이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유엔 차원의 해양플라스틱 대응 논의를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또 문 대통령은 '포용적인 녹색회복을 통한 탄소중립 비전 실현'을 주제로 열린 이번 회의에서 한국의 '녹색 리더십' 수준을 한층 끌어올렸다. 과거 한국의 경제개발 경험과 그린 뉴딜 등 현재의 성과를 소개하고, 동시에 개발도상국에 대한 한국의 지원 의지를 천명함으로써 선도국 입지를 다졌다는 평가다.

문 대통령은 개회사에서 "한국 국민들은 지난날 식민지와 전쟁, 산업화를 겪으며 인간과 자연이 서로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경험했다"며 "전쟁의 포탄과 산불로 숲이 더욱 황폐해지면서 물을 보전하지 못해, 가뭄과 홍수가 반복되면서 농산물 생산량이 줄어들었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나 한국 국민들은 자연을 되살려냈다. 민둥산에 나무를 심었고, 쓰레기를 줄이며 자연을 살리기 위해 행동했다"며 "그 결과, 산림 회복을 시작한 지 불과 20년 만에 유엔식량농업기구로부터 '2차 세계대전 이후 산림녹화에 성공한 유일한 개발도상국'이라는 평가를 받았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반세기 전 한국 국민들의 노력과 성취는 자연의 회복 없이 삶의 회복이 불가능하며, 함께 행동해야 회복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지금 인류가 당면한 기후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해답 역시 명확하다. 다짐을 넘어 함께 실천하는 것이며, 선진국과 개도국이 협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협력하는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한국이 국제사회의 지원 속에서 산림 회복을 이룬 것처럼, 개발도상국들과 적극 협력하겠다"며 "석탄화력발전 의존도가 큰 개발도상국들의 에너지 전환을 돕겠다"고 제시했다.

또 "2025년까지 기후·녹색 ODA(공적개발원조)를 대폭 늘려 녹색회복이 필요한 개발도상국들을 돕는 한편,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에 500만 불 규모의 그린뉴딜 펀드 신탁기금을 신설하겠다"며 "개발도상국들이 맞춤형 녹색성장 정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공약했다.

아울러 서울선언문은 지난해 12월 기후목표 정상회의, 지난 1월 기후적응 정상회의, 4월 기후정상회의에서 발표된 기후변화 대응 공약을 확인하고, 이를 6월 G7(주요7개국) 정상회의, 10월 G20(주요20개국) 정상회의, 11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까지 확장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올해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파리협정 이행의 원년이자, 지난 4월 기후정상회의에 이어 6월 G7 정상회의, 그리고 11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 이르기까지 각국의 치열한 기후외교가 전개되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도 4월 기후정상회의에 이어 이번 P4G 서울정상회의에서 재차 "한국은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추가 상향하겠다"고 강조한 만큼, 하반기 G7, G20, COP26 등 기후외교 국면에서 상향된 목표 제시를 통해 기후대응 선도국 입지를 확고히 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문 대통령의 시선은 이미 올해 하반기 기후외교 국면을 넘어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번 P4G 서울정상회의를 계기로 "한국은 2023년 제28차 기후변화당사국 총회(COP28) 유치를 추진하고자 한다"고 밝히며, 이번 회의 개최의 자신감을 바탕으로 더 큰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문 대통령이 유치 의사를 밝힌 COP28은 기후변화협약 당사국들이 1995년 이후 매년 1회 개최하는 회의체로, 197개국 2만여 명이 참석하는 기후환경 분야 최대 국제회의다. 1500억원 이상의 경제유발 효과와 1000여명 안팎의 고용창출 효과 등이 기대된다.

기후환경 분야 최대 국제회의 개최를 통해 한국의 기후변화 대응 리더십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높은 경제성장과 그린 뉴딜의 경험을 바탕으로 기후대응 취약국에 대해 '기후대응의 롤모델'로서 역할을 보여줄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겠다는 것이 문 대통령의 구상이다.

문 대통령은 정상 토론세션 의제발언에서 "선진국들의 과거처럼, 산업화와 경제성장을 위해 화석연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개발도상국에게는 탄소중립의 길이 매우 어렵다"며 "한국은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을 높이기 위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연결하는 가교역할을 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서울=뉴시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