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도유람만 50년 이상… 관객도 ‘얼씨구’
일흔 넘긴 나이에 ‘정선아리랑’ 연주법 개발

[천지일보=김지윤 기자] “재담천하 김뻑국, 강산유람 구경을 가세, 구경을 가세. 이강산 삼천리, 구경을 가세 구경을 가세.”

재담가 김뻑국(75) 씨. 요즘 세대에겐 낯설지만 50대 이상에겐 추억의 인물이다. 그가 공연을 펼치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동네 주민들이 모여들었다. 70~80년대엔 만담과 재담이 큰 인기를 끌었다. 김 씨가 가는 곳마다 사람들이 모였다. 하지만 고춘자와 장소팔 등 같이 활동했던 만담가들이 하나둘씩 세상을 떠나고 개그가 인기를 끌면서 재담과 만담은 대중에게 점점 멀어졌다.

종로3가에 위치한 ‘김뻑국 민속예술단’을 찾았다. 그곳엔 김 씨의 제자 김순녀(54) 씨 외 1명이 소리 연습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었다. 예술단에서 만난 김 씨는 무대에서의 익살스러운 모습과 달리 신사적이었다.

김 씨는 반세기가 넘게 팔도강산 유람기를 우리 가락으로 읊고 있다. 그의 익살스러운 재담은 6.25전쟁으로 자유롭게 오갈 수 없는 남과 북을 하나로 잇는다. 관객은 이러한 재담에 ‘얼씨구’ ‘좋다’ 등 다양한 추임새를 넣는다.

▲ 재담가 김뻑국(본명 김진환) 씨 (사진제공: 김뻑국예술단)
본명은 김진환이다. 예명 ‘뻑국’은 60년대 초 방송 데뷔 때 뻐꾸기 효과음을 잘 낸다는 이유에서 붙여졌다.

그가 태어난 곳은 일본이다. 한국으로 건너온 것은 열 살 때다. 당시 원폭투하를 목격한 가족은 고향 충남 보령으로 돌아왔다. 한국어가 서툴렀던 그는 학교에서 급우들에게 따돌림을 당했다. 초등학교 과정을 다 밟지 못한 채 기차를 탔다. 도착한 곳은 서울역이었다.

김 씨는 뚝섬 근처에서 국악인 이충선 선생 밑으로 들어가 1년 반 동안 머슴살이를 했다. 6.25전쟁이 일어나면서 용인으로 피란했다. 1953년 다시 상경한 그는 탑골공원에서 공연 중인 국악인 최경명 선생을 만났다. 최 선생에게 장구와 피리를 배웠다. 이후 배뱅이굿으로 유명한 이은관 선생을 만나 약 30년간 같이 지냈다.

김 씨는 자신이 유명세를 탈 수 있었던 것으로 이후락 중앙정보부장과의 인연을 꼽았다. 1972년 7.4남북공동성명 발표 후 이 부장은 북한을 무사히 다녀온 것을 기념하기 위해 모임을 열었다.

“이은관 선생님과 함께 종로3가의 어느 식당으로 초대받았습니다. 식당으로 들어가니 김지미 등 당대 유명 가수들이 있었습니다. 부장님은 돌아가면서 노래를 시켰었죠. 전 그때 ‘네가 먼저 살자고 옆구리 쿡쿡 찔렀지, 내가 먼저 살자고 계약에 도장을 찍었나’라는 민요풍의 노래를 불렀습니다.”

그때 이 부장은 ‘옳다구나’하고 김 씨에게 100만 원 정도하는 수표를 건넸다. 당시 100만 원은 집 한 채 가치였다. 그는 이 돈으로 자신의 이름이 내걸린 예술단 ‘김뻑국예술단’을 설립했다. 이후 재담과 소리 연구에만 집중하고 있다.

일흔을 훌쩍 넘긴 김 씨는 ‘정선아리랑’ 연주를 개발했다. 연주법, 연출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머릿속에서 여전히 샘솟고 있다. 여느 청년보다 빠릿빠릿하고 열정적이다. 김 씨는 지금도 자신의 소리를 듣고 싶어 하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달려간다.

“12년 전에 중풍으로 죽을 뻔했습니다. 그런데 감사하게도 살게 됐습니다. 이후 재담과 소리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제2의 인생이 아깝지 않도록 말입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