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기록적인 수도권 집중호우로 인해 한강 수위가 높아진 4일 오전 서울 반포한강공원이 흙탕물로 뒤덮여 있다. ⓒ천지일보 2020.8.4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기록적인 수도권 집중호우로 인해 한강 수위가 높아진 지난해 8월 4일 서울 반포한강공원이 흙탕물로 뒤덮여 있다. ⓒ천지일보 2020.8.4

수자원조사기술원, 조사 보고

“내수침수, 전체64.1% 차지”

“피해, 국가하천 < 지방하천”

[천지일보=김빛이나 기자] 국가 홍수대응시스템이 기후변화를 읽지 못해 대응 과정에 한계가 있다며 최근 강우 패턴을 비롯해 기후변화를 다각도로 고려한 홍수방어 시설 등에 대한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19일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이 발간한 ‘2020년 홍수피해상황조사 보고서(1차)’에 따르면 연구원들은 지난해 이례적으로 긴 장마 등으로 인해 발생했던 한강 권역의 홍수 피해 상황과 이에 대한 원인 분석, 시설 개선을 위한 조사 등을 진행하고 이 같은 제언을 냈다.

일부 지역에서 중소하천 위주로 발생했던 과거의 상황과 달리 지난해 홍수피해는 전국적인 양상을 보였다. 이로 인해 한강뿐 아니라 합천댐(황강)·용담댐(금강)·섬진강댐(섬진강)의 하류 지역 국가하천 구간에서도 대규모 피해가 발생했다.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살펴보면 국가하천 29개, 지방하천 938개에서 피해가 나왔고, 이 가운데 한강권역의 피해 규모는 국가하천 10개, 지방하천 261개로 파악됐다.

침수 피해는 ‘내수 침수’가 전체의 64.1%를 차지할 정도로 많았고, 내수 침수는 주로 저지대, 내수(제방의 안쪽) 배제시설 용량 부족, 설계 강우 초과 등으로 인해 발생했다. 하천 범람 및 내수 침수 복합 피해의 경우 전체 피해의 23.6%였다.

한강권역을 보면 국가하천보다는 지방하천에서 상대적으로 피해가 컸다. 이는 설계 수문량 초과에 따른 하천 범람, 빠른 유속 등이 작용하면서 하천 시설물의 유실과 침수피해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하천 홍수피해 원인 가운데 과도한 유속으로 인한 피해는 94%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일부 하천에서는 계획빈도를 초과하는 강수량을 기록하거나 홍수위가 발생해 하천 범람 등이 발생했다. 홍수위 분석 결과, 청미천의 여주시(원부교), 한탄강의 철원군(삼합교), 임진강의 파주시(비룡대교) 등에서 기왕최고수위(2000년 이후)를 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홍수위 발생빈도를 살펴보면 임진강·한탄강 유역 수위관측소에서 150년 이상의 홍수위 빈도를 보여 계획홍수위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강 지류인 청미천·복하천 등도 50~80년 규모의 홍수위를 보였다. 서울 한강대교의 경우 50년 빈도에 해당하는 홍수위가 파악됐다.

보고서에서 연구진은 과거의 자료를 바탕으로 구축된 지금의 홍수대응시스템은 최근 기후변화를 대변하지 못해 대응 과정에 한계가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작년 강우와 홍수 상황과 더불어 최근의 강우 패턴, 기후변화에 의한 강수량 증가 등을 고려해 제방 등의 홍수소통능력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