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봉산 금강소나무숲(제공: 산림청). 기사 내용과 관련없음. ⓒ천지일보 2020.9.11
삼봉산 금강소나무숲(제공: 산림청). 기사 내용과 관련없음. ⓒ천지일보 2020.9.11

30년 동안 30억 그루 나무심기

2050년 탄소중립 3400만t 목표

환경단체 등 강력 반발 목소리

“숲의 생물다양성 보전기능 무시”

[천지일보=김지현·명승일 기자] 산림청이 지난 1월 발표한 ‘2050년까지 30년간 30억 그루의 나무를 심어 탄소 3400만t을 흡수하겠다’는 산림 부문 탄소중립 추진 전략을 놓고 갑론을박이 펼쳐지고 있다. 환경단체 등은 탄소중립을 빙자한 벌목정책이란 비판을 쏟아내는 양상이다.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2018년 기준 국내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량은 연간 4560만t으로, 국가 총배출량(7억 3천만t)의 6.3%를 상쇄하고 있다. 하지만 70~80년대 치산녹화 시기에 조성한 산림의 노령화가 가속화하고 있어 현 추세대로라면 오는 2050년 흡수량이 1400만t까지 떨어질 것이라고 봤다.

이에 산림청은 지난 1월 산림의 탄소 흡수·저장 기능을 증진하기 위해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30년간 30억 그루의 나무심기를 통한 2050년 탄소중립 3400만t 기여를 목표로 산림의 탄소흡수력 강화, 목재와 산림바이오매스의 이용 활성화, 산림탄소흡수원 보전·복원 등 4대 정책 방향을 뒷받침하는 12대 핵심과제를 중점적으로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산림의 탄소흡수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30년생 이상이 72%를 차지하는 불균형한 산림의 영급(수목의 나이) 구조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산림청에 따르면, 산림 1㏊가 연간 흡수하는 탄소량은 수령이 30년이면 10.8t, 40년이면 8.5t, 50년이면 6.9t으로 계속 감소한다. 결국 산림청은 영급 구조 개선을 통해 젊은 숲을 만들어 탄소흡수량을 늘리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환경단체 등을 중심으로 산림의 다양한 공익적 기능은 고려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그러자 산림청은 “보전가치가 높은 산림은 생물다양성 보전을 최우선 가치로 하여 보호할 계획”이라며 “이번 전략(안)에 제시된 나무를 수확하고 심는 정책은 전체 산림의 1/3에 해당하는 경제림(산림을 계획적으로 육성해 경제적으로 이용하는 산림)에서 집중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했다. 앞으로 9월까지 전략(안)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경청하겠다고 밝혔다.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안) (출처: 산림청) ⓒ천지일보 2021.5.14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안) (출처: 산림청) ⓒ천지일보 2021.5.14

그럼에도 논란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녹색연합은 “탄소흡수원을 확충하기 위해 자연림과 2차림 등을 베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번에 국립산림과학원이 중심이 되어 언론에 보도된 ‘탄소흡수 저하 노령림 벌채’는 환경단체와 환경부, 국회 등 숲의 공익적 가치와 생물다양성 보전 기능을 중시하는 국민의 저항에 부딪힐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혜린 환경운동연합 국제연대 담당 활동가는 14일 천지일보와의 통화에서 “많은 육상동물의 서식처가 되는 숲을 파괴해서 탄소중립을 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숲을 보호하고 훼손된 걸 복구해야 한다”며 “멀쩡한 나무를 베면서 탄소중립이라고 말해선 안 된다. 차라리 벌목사업을 확대한다고 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지난 10일 국회 토론회를 열었다. 오는 6~7월 몇 차례 더 간담회와 토론회 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라며 “그때는 주제별로 논의를 할 예정이다. 산림청과 환경단체뿐 아니라 관련 분야에서 상반된 의견을 가진 전문가를 같이 초청해서 접점을 찾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