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계첩, 기로사연도 (제공: 문화재청) ⓒ천지일보 2020.12.22
기사계첩, 기로사연도 (제공: 문화재청) ⓒ천지일보 2020.12.22

조선 시대 회화, 서책 등은 보물 지정 

[천지일보=장수경 기자] 300년 넘게 풍산홍씨 후손가에 전래된 조선 왕실 하사품인 궁중회화 ‘기사계첩 및 함(耆社契帖 및 函)’이 국보로 지정됐다. ‘경진년 연행도첩’ ‘말모이 원고’ 등 조선 시대 회화, 서책, 근대 한글유산 등 6건을 보물로 지정됐다.

22일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에 따르면, 국보 제334호 ‘기사계첩 및 함’은 1719년(숙종 45년) 59세가 된 숙종이 태조 이성계의 선례를 따라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간 것을 기념해 제작한 계첩(契帖)으로, 18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궁중회화다.

행사는 1719년에 실시됐으나 계첩은 초상화를 그리는데 시간이 걸려 1720년(숙종 46년)에 완성됐다. ‘기사계첩’은 기로신들에게 나눠줄 11첩과 기로소에 보관할 1첩을 포함해 총 12첩이 제작됐다. 현재까지 박물관과 개인 소장 5건 정도가 전하고 있다. 문화재청에서 2017년도부터 실시한 보물 가치 재평가 작업에 따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의 기사계첩이 2019년 국보 제325호로 지정됐으며, 이번 건이 두 번째 국보 지정이다.

‘보물 제2084호 경진년 연행도첩’ 산해관도 내(천하제일관) (제공: 문화재청) ⓒ천지일보 2020.12.22
‘보물 제2084호 경진년 연행도첩’ 산해관도 내(천하제일관) (제공: 문화재청) ⓒ천지일보 2020.12.22

보물 제1051-5호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分類杜工部詩(諺解) 卷十一)’은 1481년(성종 12년)에 류윤겸(柳允謙, 1420∼?), 조위(曹偉, 1454∼1503) 등 홍문관 학자들과 의침(義砧, 15세기) 승려들이 왕명을 받아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 712∼770)의 ‘두공부시(杜工部詩)’에 대해 여러 주석을 참고해 내용별로 분류하고 한글로 번역해 편찬한 ‘분류두공부시(언해)’의 권11에 해당한 책이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 최초로 간행한 번역시집이라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가 크다.

보물 제1219-4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 권상1의2(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諺解) 卷上一之二)’는 중국 당나라 승려 규봉(圭峰) 종밀(宗密, 780∼841)의 초본(鈔本, 베낀 글)에 세조가 한글로 구결(口訣)한 판본을 저본으로 해 1465년(세조 11년) 주자소(鑄字所)에서 금속활자인 ‘을유자(乙酉字)’로 간행한 것으로 줄여서 ‘원각경(圓覺經)’이라고 부른다. 불교의 대승경전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시대 이후 사찰에서 수행을 위한 교과목 중 하나로 채택되어 널리 유통되었으며, 마음을 수행해 원만한 깨달음(원각, 圓覺)에 이르도록 한다는 내용이다.

보물 제2084호 ‘경진년 연행도첩(庚辰年 燕行圖帖)’은 경진년인 1760년, 11월 2일 한양에서 북경으로 출발해 이듬해 1761년 4월 6일 돌아온 동지사행(冬至使行)의 내용을 영조(英祖, 재위 1724∼1776)가 열람할 수 있도록 제작한 어람용(御覽用) 화첩이다. 사행단을 이끈 정사(正使)는 홍계희(洪啟禧, 1703∼1771)가, 부사(副使)는 조영진(趙榮進, 1703∼1775), 서장관(書狀官)은 이휘중(李徽中, 1715∼?)이 맡았고 그림을 담당한 화원으로 이필성(李必成)이 파견됐다.

말모이 원고(등록 제523호) (제공: 문화재청) ⓒ천지일보 2020.12.22
말모이 원고(등록 제523호) (제공: 문화재청) ⓒ천지일보 2020.12.22

◆조선~근대 한글유산 3건 포함 

또한 이번 지정에는 조선~근대 한글유산 3건이 대상에 포함됐다. 특히 근대시기 한글유산 2종은 일제강점기라는 혹독한 시련 아래 우리말을 지켜낸 국민적 노력의 결실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대한민국 역사의 대표성과 상징성이 있는 문화재로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첫 번째로 보물 제2085호 ‘말모이 원고’는 학술단체인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 주관으로 한글학자 주시경(1876~1914)과 그의 제자 김두봉(1889~?), 이규영(1890~1920), 권덕규(1891~1950)가 집필에 참여해 만든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사전 ‘말모이’의 원고이다. ‘말모이’는 말을 모아 만든 것이라는 의미로, 오늘날 사전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주시경과 제자들은 한글을 통해 민족의 얼을 살려 나라의 주권을 회복하려는 의도로 ‘말모이’ 편찬에 매진하였다.

보물 제2086호 ‘조선말 큰사전 원고’는 조선어학회(한글학회 전신)에서 1929~1942년에 이르는 13년 동안 작성한 사전 원고의 필사본 교정지 총 14책이다. (사)한글학회(8책), 독립기념관(5책), 개인(1책) 등 총 3개 소장처에 분산돼 있다. 특히 개인 소장본은 1950년대 ‘큰사전’ 편찬원으로 참여한 고(故) 김민수 고려대 교수의 유족이 소장하고 있는 ‘조선말 큰사전 원고’의 ‘범례’와 ‘ㄱ’ 부분에 해당하는 미공개 자료로서, 이번 조사 과정에서 발굴해 함께 지정하게 되었다.

보물 제2087호 ‘효의왕후 어필 및 함-만석군전․곽자의전(孝懿王后 御筆 및 函-萬石君傳․郭子儀傳)’은 정조(正祖, 재위 1776~1800)의 비 효의왕후 김씨(孝懿王后 金氏, 1753~1821)가 조카 김종선(金宗善, 1766~1810)에게 ‘한서(漢書)’의 ‘만석군석분(萬石君石奮)’과 ‘신당서(新唐書)’의 ‘곽자의열전(郭子儀列傳)’을 한글로 번역하게 한 다음 그 내용을 1794년(정조 18) 필사한 한글 어필(御筆)이다.

오동나무로 만든 여닫이 뚜껑의 책갑에 보관됐고 ‘곤전어필(坤殿御筆)’이라고 단정한 해서(楷書)로 쓰인 제목, ‘만석군전’과 ‘곽자의전’을 필사한 본문, 효의왕후 발문, 왕후의 사촌오빠 김기후(金基厚, 1747∼1830)의 발문 순으로 구성됐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