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부터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하고 있는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 답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글 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사진 글마루  

구녀산성 내외겹축성 유구
구녀산성 내외겹축성 유구

‘구라산’ ‘구녀성’의 혼동

구라산성과 구녀성은 같은 성이면서 이중으로 표기되어 있다. 즉 청주의 동쪽 40여리에 있으며 둘레는 2790척이고 성내에 2개의 우물이 있다고 하였다. 이는 구녀산성의 표기와 비슷하다.

이 산성의 지형적인 배려와 성문, 망대, 수구의 배치 그리고 출토유물과 축성설화(築城說 話)로 미루어 볼 때 초축(初築)은 신라였을 가능성이 있다. 보은, 상주 등 남쪽에서 올라오는 신라군을 제어하기 위한 전초기지의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삼국의 각축장으로 주인이 자주 바뀌었다고 추정된다. 지표조사 자료에 따르면 후삼국시대에도 전략적 요충지가 되어 군사가 주둔하고, 고려 초기까지도 성곽의 기능이 계속된 것으로 보인다. 산성의 둘레는 크지 않다. 약 856m로 성내에서 가장 높은 북단에서 양쪽으로 이어진 능선이 남쪽 계곡을 향해 점차 낮아져 삼태기 모양을 이루었다. 조사 자료에 따르면 기반은 2중 쌓기로 한 후에 석루(石壘)를 쌓아 올렸는데 대부분 붕괴되어 유구가 토루(土壘)처럼 남아있다.

능선의 서북단 남쪽 부분에 성벽이 많이 남아 있다. 높이 7m, 폭 8m, 두께 6.3m의 내외겹축성(內外夾築城)이었음을 보여준다. 산성 안의 시설로는 남쪽 수구 옆에 있는 남문지와 북쪽과 서쪽의 작은 문지가 있으며 북쪽의 정상부에 망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완전히 붕괴되었다. 성벽이 능선으로 이어지는 북·남·서 모퉁이에 고구려식인 곡성(曲城)이 설치되었다. 이 같은 형태는 포천 반월성지, 단양 적성산성, 충주 장미산성, 양구 비봉산성 등에서 엿볼 수 있는 형태다.

<여지승람> 제 15권 청주 목 토산 조에 보면 매우 재미있는 기록이 보인다. 바로 구라산에서 청옥(靑玉)이 나온다는 기사다. “청옥 출구라산. 청옥석 출주동삼십리소음리 운운(靑玉 出謳羅山. 靑玉石 出州東三十里召 音里 云云).”

글마루 취재반은 성벽 혹은 성내에 마련한 체육시설 부지 등을 조사하면서 여러 점의 붉은 색 와편과 경질의 신라 토기편을 수습했다. 와당은 포천 반월성, 단양 적성, 단양 용부원리 보국사지, 양구 비봉산 등지에서 출토되는 고구려 평와를 닮고 있다. 그리고 혹 청옥의 파편은 없을까. 산성 정상으로 오르는 길을 조사했으나 성과는 없었다.

구녀산성에서 찾아진 와당
구녀산성에서 찾아진 와당

비중리 ‘고구려 일광삼존불상’

지난 1978년 청원구 비중리 ‘일광삼존불상’은 햇빛을 찾았다. 필자의 안내로 단국대 학술조사단(단장 정영호)이 현지로 내려와 불상을 실측하고 시대를 판단했다. 처음에는 이 삼존불상의 국적에 대해 이론이 분분했다. 조사단장 정영호 박사는 일광삼존불의 특이한 양식을 감안해 고구려불상으로 단정했다. 그런데 당시 동국대 문명대 교수는 백제불상이라고 견해를 밝혔다. 두 전문가는 국립박물관 회보를 통해 논쟁을 벌였는데 나중에는 정영호 박사 측의 견해가 우세했다.

불상이 남아있는 곳은 ‘비중리 절터’라 불려왔다. 그런데 절터로 추정되는 곳은 모두 밭이 되거나 집이 들어서서 건물의 흔적 같은 것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동구 정자나무 주변에 기와 조각이 산란하며 일광삼존불과 석불입상, 광배 하나가 있을 뿐이다.

‘일광삼존불’이란 하나의 광배 안에 불상 세 구를 조각한 것이다. 가운데에 본존불이 앉아 있고 양 옆에 보살이 서 있는 모습이었는데 네 조각으로 깨어져 본존의 머리 부분과 좌우협시 보살이 떨어져나갔다. 현재 국보로 지정되어 있는 서산 마애삼존불에서 그 원형을 유추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찾지 못한 좌협시보살을 제외하고는 모두 한자리에 맞춰놓았다.

이 삼존불에 대한 문화재 대관의 설명을 그대로 옮겨본다.

“본존불은 결가부좌하고 앉았으며 옷자락이 무릎을 덮고 대좌까지 흘러내렸다. 얼굴과 왼 쪽 어깨, 가슴 부분이 뚝뚝 깨져나가고 오른쪽 무릎도 벗겨지는 등 손상이 심하지만 전체적 인 모습이 부드럽다. 어깨가 당당하고 오른손은 가슴 앞에 들어 둘째손가락을 구부린 채 시 무외인을 지었으며 왼손은 무릎 위에 얹은 모습이지만 잘 알아볼 수 없다.

넓은 무릎을 덮은 옷자락이 여러 겹으로 U자를 그리며 아래쪽으로 흘러내렸고 그 아래에 삼존불상이, 양쪽에 사자가 한 마리씩 새겨졌으나 심하게 닳았다. 두광과 신광은 둥근 무늬를 몇 겹 새겨 물결 모양으로 표현했고 좌우에 5구씩, 모두 10구의 화불이 조각되어 있다. 본존불의 높이는 1.22m, 무릎 너비는 0.86m이다. 남아있는 우협시보살도 길게 늘어뜨린 머리카락과 원통형 몸, 몸 앞에서 X자로 엇갈리는 옷 주름, 중첩된 광배의 형태 등에서 6세기 불상의 특징을 보인다.

비중리 일광삼존불상은 원형을 많이 잃기는 했으나 삼국시대 불상 가운데 처음으로 조사된 석조일광삼존불상이며 청주지역에서 발견 되었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일광삼존불 상 앞에 세워진 석불입상은 높이 1.44m의 돌기둥 모양 화강암에 높게 부조되었으며 두광이 이중으로 새겨져 있다. 얼굴 부분은 깨져서 알아볼 수 없고 어깨가 좁은 편이며 가슴도 움츠린 듯하다. 오른손은 들어서 시무외인을 짓고 왼손은 내려서 여원인을 지었는데 손이 유난 히 크다. 두 어깨를 감싼 법의는 굵고 두툼하게 주름 지으며 가슴 아래에서 타원형을 그리며 물결치고 그 아래로 주름진 군의자락은 발께에서 층단을 이루었다. 가슴 아래로 흘러내린 타원형 옷 주름이나 커다란 두 손 등의 형태나 양식으로 보아 이 석불입상도 일광삼존불상과 같은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석불입상은 얼굴 부분이 깨져나가 표정을 알아볼 수 없으나 흘러내린 옷 주름이나 커다란 두 손 등의 형태와 양식으로 보아 일광삼존불상과 같은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불상이 안치된 주변에서는 1980년대 초 단국 대학에 의해 발굴작업이 벌어졌으며 판단이 뾰족한 팔엽(八葉)와당이 수습되기도 했다. 주연은 아무 무늬가 없는 소문대(素紋帶)였으며 색깔은 청회색이었다. 이 와당은 괴산 문광면 일대 엣 절터에서도 발견된 형태였다. 현재 이 불상은 보물 제1941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절터 안에서도 글마루 취재반은 붉은색의 와편을 다수 찾았다.

청주 비중리 일광삼존불상
청주 비중리 일광삼존불상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