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월간 글마루에서 연재한 ‘다시 보는 백제사’ 시리즈를 천지일보 온라인을 통해 선보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욱 깊이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과거 연재시기와 현재 노출되는 기사의 계절, 시간 상 시점이 다소 다른 점을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글 이재준 역사연구가·칼럼니스트 사진 글마루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
용암사 동서 삼층석탑

비극의 현장 명복을 비는 가람 용암사

용암사는 옥천읍 삼청리의 장령산 서북쪽 기슭에있다. 신라 진흥왕 13(552)년 천축국에 갔다가 귀국한 의신조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의신조사는 신라의 고승이다. <속리산대법주사 본말사기>에 보면 ‘의신조사가 진흥왕 14(553)년 법주사를 창건할 때 서역에 구법여행을 하고 돌아와 흰 노새에 불경을 싣고 와서 머물렀으므로 법보를 모셨다는 뜻에서 법주사로 부르게 되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 사전으로 본다면 용암사가 법주사보다 1년 먼저 창건된 것이다. 이 시기는 신라와 백제 간 치열한 전쟁이 그칠 새가 없었다. 조사는 수 없이 죽은 전사들의 영혼을 위무하고 싸움 없는 국토를 만들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용암사의 주 예배 대상은 대웅전 뒤편의 신라 마애여래입상이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마의태자가 조성했다고 한다. 양식으로 보아 통일신라 성대 작품으로 추정되며 유려한 조각이 주목된다. 이쯤이면 국가지정 문화유산인데 아직도 충북도유형문화재(17호)로 남아있다.

마애불상은 연꽃대좌 위에 두 발을 벌리고 선 입상으로 높이가 3m나 된다. 머리는 소발이며 육계가 있고 양 귀는 늘어져 어깨에 닿았다. 눈은 가늘고 길게 표현되었고 입은 경직되어 침울한 얼굴이다. 우견편단의 법의는 아래로 내려오면서 U자 모양을 이룬다. 본래 채색을 한 듯 입술과 법의, 연화대좌 등에 붉은색이 남아 있다.

용암사에는 또 쌍탑이 보존되어 있다. 자연석 암반 위에 2층 기단을 쌓고 3층 탑신을 올린 일반형 석탑이며 보물 제1338호로 지정되어 있다. 동쪽에 있는 것이 4.3m, 서쪽에 있는 것이 4.1m로 규모가 비슷하고 형식은 같다.

용암사 마애여래입상
용암사 마애여래입상

<향수> 정지용의 시혼 연면한 예술혼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 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비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벼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옥천이 낳은 시인 고(故) 정지용의 유명한 시 <향수>의 일부분이다. 그는 한국 현대시의 새로운 시대를 개척한 선구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지용과 같은 시기 활동한 시인 고 김기림은 ‘한국의 현대시가 지용에서 비롯되었다’고 평하기도 했다.

그는 옥천읍 죽향리 하계마을에서 태어났다. 1929년 대학을 졸업하고 귀국한 뒤에는 휘문고보 영어과 교사로 부임하여 해방이 될 때까지 재임하였다. 1930년에는 박용철, 김영랑 등과 함께 동인지 <시문학>을 발간하고, 1933년에는 순수문학을 지향하는 김기림, 이효석, 이종명 등과 함께 9인회를 결성하며 한국 시단을 대표하는 인물로 떠올랐다.

해방 이후에는 이화여자대학교의 교수로 봉직하기도 했다. 또 경향신문의 편집주간으로 활동했다. 1946년 2월에 시집 <지용시선(芝溶詩選)>을 발간했으며 1947년에는 서울대학교에서 시경(詩經)을 강의하기도 했다.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난 뒤에는 김기림, 박영희 등과 함께 서대문형무소에 수용되었다. 이후 북한군에 의해 납북되었다가 사망하였다.

정지용 생가는 옥천구읍사거리에서 수북 방향으로 청석교 건너에 있다. 생가 앞 청석교 아래는 여전히 그의 시 <향수>에 등장하는 실개천이 흐르고 있다. 향수가 떠오르는 고향의 정경이다.

정지용 생가에는 벽마다 고인의 주옥같은 시를 걸어놓았다.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비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흐릿한 불빛에 돌아앉어 도란도란거리는 곳” 등 <향수>의 시어에 따라 방안에 배치된 소품 질화로와 등잔이 그윽한 한국의 정취를 떠올리게 한다.

한편 정지용의 시혼을 기리는 ‘지용제’는 1988년 시인의 작품이 해금(解禁)되자 그의 시를 아끼고 사랑하는 문인들과 제자들이 지용회(芝溶會)를 결성한 뒤 그해 5월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처음 막을 올렸다. 지용제는 1989년부터 옥천으로 옮겨 와 시인의 생일인 5월 15일을 전후해 해마다 열리고 있다.

정지용문학관(사진 제공: 옥천군청)
정지용문학관(사진 제공: 옥천군청)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