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천지. ⓒ천지일보
백두산 천지. ⓒ천지일보

실시간 백두산 감시 체계 없어

中에 받은 2017년 자료가 최신

지난 정부 때도 주요 문제로 인식

[천지일보=이민환 기자] 최근 남북미 관계에서 남한이 중재자 역할을 자처하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우리 정부가 국제사회 및 유엔의 대북제재와 다른 길을 걷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북한의 대화를 끌어내기 위해 지난 정부에 비해 대북정책에서 친화적인 정책을 펼치기 위해 손을 내미는 것을 두고 이른바 ‘대북 퍼주기’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본지는 ‘백두산 화산 활동에 대한 남북 합동 대비’가 단지 북한 퍼주기를 위한 명목상의 이유에 불과한 것인지 알아봤다.

지난 15일 국회 도서관에서 ‘깨어나는 백두산 화산, 어떻게 할 것인가’ 주제의 토론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이윤수 포항공대 교수는 토론회에서 “946년 백두산 분화는 2010년 아이슬란드 화산 폭발의 1000배 이상 규모였다”면서 “백두산에서 비슷한 규모의 화산 폭발이 또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토론회에서 백두산 화산 폭발 징후가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일각에서 ‘북한에 퍼주기 하려는 것 아니냐’라는 주장도 덩달아 나오고 있다. 당시에 우남철 지진분석관은 “만에 하나 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해 중국·러시아 등 백두산에 인접한 나라와 공조와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백두산에서 화산 폭발이 일어날 경우 화산재·수증기·열기 등이 겨울에는 북서풍을 타고 남·북한과 태평양 쪽으로, 여름과 가을에는 남동풍이 불어 중국 쪽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그는 이런 재난에 대응하려면 주변국과 공조해 감시체계 구축 및 꾸준한 연구활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따르면 백두산은 지난 2002년부터 2005년 사이 3000여회, 월 평균 72건의 지진이 관측됐고, 천지가 부풀어 오르는 등 화산폭발 징후가 나타나기도 했다. 안정적인 상태일 때 백두산은 월 평균 지진 7번에 비해 상당히 많이 늘어난 것이다.

백두산 화산이 폭발하면 대한민국도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는 것은 틀림없다. 하지만 백두산이 북한과 중국 접경지역에 위치해 있어 우리나라는 백두산의 화산활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방법이 없다.

현재 우리 정부가 가진 최신 데이터는 2017년의 자료로 그나마 중국에서 받은 데이터다.

또한 이명박 정부 당시에도 백두산 남북 전문가 회의가 두 차례 열린 바 있고, 박근혜 대통령도 당선인 시절 인수위원회 주요 과제 중 하나로 백두산 화산 문제를 꼽기도 해 대북 퍼주기를 위한 핑곗거리로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최근 중국 측을 통해 백두선 천지 온천수 온도가 최고 83℃까지 올라가는 이상 현상이 관측됐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