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신현배 시인, 역사 칼럼니스트
 

20세기에 전 세계를 휩쓴 공포의 광우병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천지일보 2019.4.12
20세기에 전 세계를 휩쓴 공포의 광우병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천지일보 2019.4.12

1986년 5월 영국의 한 농장에서 이상한 소가 모습을 드러냈다. 소는 처음에 몸무게가 많이 줄더니, 어느 날 갑자기 침을 흘리고 비틀거리며 잘 걷지 못했다. 서지도 못하고 픽픽 쓰러졌다. 그러더니 별안간 난폭해져서 마구 발길질을 하는 것이다. 그 뒤 몸을 부르르 떨다가 죽어 버렸다.

이처럼 이상 행동을 보이다가 죽어가는 소는 그 농장에만 있지 않았다. 열병처럼 번져서 다른 농장에서도 발견되었다. 그 수는 계속 늘어나 이듬해까지 130여 마리의 소가 그렇게 죽어갔다.

영국 정부는 연구진을 시켜 죽은 소의 뇌를 조사했다. 그랬더니 죽은 소의 뇌에 스펀지처럼 구멍이 숭숭 뚫려 있는 것이다. 이 수수께끼 질병은 소가 죽기 직전에 미친 듯이 날뛴다고 해서 ‘미친 소 병’, 즉 ‘광우병’이라 불리었다. 의학적 공식 명칭은 ‘우해면양뇌병증(BSE)’이었다.

이 병이 사람들의 관심을 끈 것은 1996년 영국 정부가 광우병에 걸린 소를 먹으면 사람도 이와 비슷한 병에 감염될 수 있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이 병은 바로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인데, 광우병과 증세가 비슷했다. 2008년 4월까지 영국에서 163명, 다른 나라에서 37명이 ‘인간 광우병’이라 불리는 이 병에 걸려 목숨을 잃었다.

1970년대 말부터 유럽의 목축업자들은 초식 동물인 소에게 동물의 살과 뼈가 섞인 사료를 먹이기 시작했다. 고단백질인 동물성 사료는 소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데다, 고기를 싼 값으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국 정부는 이 동물성 사료가 광우병의 원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동물성 사료에 사용된 죽은 동물 중에는 광우병과 같은 증상인 ‘스크래피’라는 병에 걸려 죽은 양이 있어, 그 동물성 사료를 먹은 소들이 광우병에 걸린다는 것이다.

광우병은 아직까지 치료법이 개발되지 않았다. 이를 예방하려면 광우병에 걸린 소의 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 광우병의 공포가 전 세계를 휩쓸었을 때는 쇠고기의 소비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현재는 소의 감염을 막기 위해 동물성 사료 사용을 금하고 있다.
 

소가 죽기 직전에 미친 듯이 날뛴다고 해서 ‘미친 소 병’, 즉 ‘광우병’이라 불리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천지일보 2019.4.12
소가 죽기 직전에 미친 듯이 날뛴다고 해서 ‘미친 소 병’, 즉 ‘광우병’이라 불리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천지일보 2019.4.12

◆ “소나 돼지 등이 걸리는 구제역은 어떤 병이에요?”

구제역은 소·돼지·양·염소·사슴 등 발굽이 두 갈래로 갈라진 동물에게만 걸리는 급성 전염병이다. 이 병에 걸리면 열이 높아지고 거품 섞인 침을 많이 흘린다. 입술·혀·잇몸·콧구멍 등에 물집이 생기고, 극심한 통증으로 인해 먹이를 먹지 못하게 된다. 발굽에도 물집이 생기면 잘 걸을 수 없다.

구제역에 감염되면 70~80퍼센트가 죽는데, 전염성이 강해서 한 마리가 걸리면 나머지 가축에게 모두 퍼진다. 그래서 구제역이 돌면 엄격하게 검역하고, 감염되었거나 감염이 의심되는 가축은 모두 도살한 뒤 불태워 버린다.

1997년 대만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여 380만 마리의 가축을 도살했으며, 2001년 영국에 구제역이 퍼졌을 때는 1000만 마리의 가축이 희생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 전파된 구제역으로 350만 마리가 넘는 가축을 매장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