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물가상승 압력 등 내부적 요인 커
韓, 원화가치 상승… 수출경쟁력 불리

[천지일보=김두나] 중국 정부의 갑작스런 금리인상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 경제가 잠시 충격에 휩싸였다. 하지만 이번 금리인상이 중국 경제성장 둔화를 완화하기 위한 출구전략으로 관측되면서 시장은 이내 안정을 되찾은 분위기다.

다만 중국이 2년 10개월 만에 전격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한 배경과 시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각에선 G20 서울 정상회의를 앞두고 미국에 선제공격을 가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중국 금리 올리기 “내수경제 처방전”

중국이 20일부터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한 것은 내수 시장의 불안을 잠재우는 등 내부적 요인이 컸다는 분석이다.

전효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중국은 유동성 불안, 부동산 시장 불안, 물가상승 등이 본격화되면서 이들 위험을 제어하려고 이전에도 여러 조치들을 써왔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며 “이에 따라 중국이 이번에는 ‘금리인상’이라는 카드로 직접적인 정책을 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금리인상 여건이 충분히 조성되어 있었다는 얘기다.

그러나 중국의 이 같은 행보가 미국 간의 환율갈등을 완전히 배제한 건 아니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이 위안화 가치 상승을 용인할 수 있다는 코멘트를 꺼낸 건 환율문제 등 쟁점 사항에 대해 미국보다 먼저 유리한 입지를 차지하겠다는 모양새”라며 “G20 정상회의 시점과 맞물려 보여준 중국의 이 같은 행보를 보면 미국에 대한 선제공격이라는 의심도 든다”고 설명했다.

강동수 한국개발연구원 금융경제연구부장은 “중국이 G20 서울 정상회의를 앞두고 금리인상을 선택한 것은 위안화 절상을 용인하겠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지만 정상회의 전까지는 위안화 강세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 ‘양날의 칼’

위안화 절상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양면적이다.

해외시장에서 중국산 제품보다 우리 수출품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지만 멀리 내다보면 중국 경제가 위축될 가능성이 커져 우리나라 대(對)중수출 물량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논리다. 특히 우리나라는 대(對)중국수출 비중(25%)이 높기 때문에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다만 이번 금리인상은 소폭에 그쳐 우리 경제가 받은 충격은 미미한 수준이지만 이 외에도 자금 유입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주요 선진국 금리가 대부분 제로인 상태에서 이번 금리인상으로 글로벌 유동성이 신흥국으로 집중될 수 있다”며 “대규모 자금이 중국뿐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유입된다면 원화가치 상승 압력이 높아져 장기적으로는 수출경쟁력이 불리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우리 정부는 이 같은 가능성을 고려해 중국과의 경제협력 강화를 위한 한-중FTA(자유무역협정) 체결 등 적극적인 정책 방안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