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김종철 기자]북한이 대승호와 선원 7명을 송환 결정해 피랍 30일 만에 돌아왔다. 정부가 민간 쌀 지원 검토 이후 북한의 송환결정이어서 일종의 화답조치가 아닌가라는 의구심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이로써 정부의 민간단체 대북 쌀 지원 승인이 빨라질 것이라는 예상이다.

남북은 천안함 사태 이후 냉랭한 관계가 유지되며 대북지원이 중단된 상태였다. 북한은 올 여름부터 최근까지 태풍과 폭우로 인해 농경지가 침수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어 민간단체들은 대북지원을 주장해왔다.

지난 8월 27일에는 ‘민족의 화해와 평화를 위한 종교인 모임’이 밀가루 300톤을 개성 육로로 전달도 하며 남북관계에 돌파구가 보이기 시작했다. 또한 2일에는 통일쌀 보내기운동본부가 대북지원사업자인 우리겨례 하나되기운동본부를 통해 쌀 100톤을 통일부에 신청해 검토 중에 있다.

정부 또한 대한적십자 명의로 100억 상당의 대북 수해복구지원 물품을 보내겠다는 의사를 북측에 전달했다. 다만 정부는 대북 쌀 지원 문제는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지난 6일 민주당 김영진 의원은 ‘쌀과 보건의료의 인도적 대북지원을 위한 특별법’을 발의했다.

정부가 계획적이고 지속적인 대북 인도적 지원사업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법이다. 김영진 의원은 “북한은 식량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면 우리는 쌀 재고량이 149만톤에 이르고 있다”며 “쌀을 보관하기 위한 창고비로만 연간 4800억원의 재정이 소요되고 있고, 쌀값 폭락으로 농민들의 고통이 심각하다”고 말했다.

농민들은 쌀값이 폭락되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쌀 재고량은 늘어가고 있고 북한 주민들은 식량난으로 고통 받고 있다. 정부는 이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임기응변식 대응이 아닌 진정한 해결 방안을 찾아 남북한 국민들에게 희망을 주어야 한다.

북한은 천안함 사태 이후 이번 대승호 송환 결정은 첫 화해의 움직임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남북교류가 없이는 통일도 없을 것이다. 지속적인 교류가 이어질 수 있도록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정부를 기대해 본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