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몸에 딱 좋은 나무] 내가 진짜 원조 토종다래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에 살어리랏다. 멀위랑 다래랑 먹고 청산에 살어리랏다.’

고려가요인 ‘청산별곡’의 한 대목이다. 이처럼 다래는 멀위(머루)와 함께 우리 조상들의 산벗이자 오래된 산과실(山果實)이다.

다래는 낙엽성 활엽 덩굴성식물로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과 일본에 자생하며, 암수가 다른 자웅이주식물로 5~6월에 꽃이 핀다. 열매는 10월경 성숙해지며 우리나라에는 다래, 개다래, 섬다래, 쥐다래 등 4종이 자생한다.

예로부터 토종 다래는 조상들에게 진통제, 이뇨제, 해열제, 갈증해소 등에 사용됐다. 다래는 열을 내리고 갈증을 멈추게 하며 소화불량 등에 효과가 있다. 특히 비타민 C가 풍부해 피로회복이나 괴혈병 치료에 효과적이다. 다래나무의 뿌리는 소화불량이나 구토, 관절통 등 치료에 사용됐다.

동의보감에서 다래는 심한 갈증과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나는 것을 멎게 하며 결석치료와 장을 튼튼하게 하고 열기에 막힌 증상과 토하는 것을 치료하는 것으로 열려졌다. 쥐다래는 산통, 허리 아픔, 목마름, 신경통, 류머티즘 치료제로 이용된다.

잘 익은 다래는 독특한 맛과 향이 있어 생과실로 먹거나 술을 담가 먹는다. 이른 봄의 어린 다래순은 산나물로 먹기도 하며, 상처 난 줄기에서 나온 수액은 음료로 마셨다. 다래는 열매 가식부위 100g 중 수분이 86%를 차지하며, 탄수화물과 지질, 단백질, 칼슘, 비타민A·C 등 우리 몸에 이로운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다.

토종 다래는 껍질째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그동안 수확량이 적고, 크기가 작아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립산림과학원은 1980년대부터 12지역에서 선발한 토종 다래 168본 중에서 개체를 선발해 신품종을 개발했다.

제공: 국립산림과학원

정리: 이혜림 기자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