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왼쪽)이 지난해 7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하기 전 악수하고 있다. (출처: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왼쪽)이 지난해 7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하기 전 악수하고 있다. (출처: 뉴시스)

[천지일보=이솜 기자] 미국이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중국산 수입품 1300개 명단을 발표하자마자 4일 중국이 미국산 대두(메주콩), 자동차 등 106개 품목에 대해 25% ‘보복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다만 중국 측은 “미국 정부의 중국산 상품에 대한 관세 부과 상황에 따라 추후에 공표하겠다”고 밝혔다. 양국이 전면전에 돌입한듯 하지만 모두 각각의 조치를 즉각 발효하지 않아 협상의 여지를 남겨둔 셈이다.

이에 겉으로는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방식으로 강한 조치를 취하는 것처럼 보이면서 물밑 협상을 통해 타결을 볼 수 있다는 가능성도 나온다.

미무역대표부(USTR)는 지난 3월 22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서명한 최대 600억 달러(약 63조원) 규모의 대중국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따라 3일(현지시간) 1300개 대상 품목을 발표했다.

그러나 미 정부가 발표한 관세가 즉각 부과되지는 않는다. USTR는 2개월간 업계 등의 의견을 청취, 검토 기간을 걸쳐 6월께 실제 조치를 발동할 지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만약 이 기간에 미중 양국이 극적으로 합의한다면 관세 조치가 철회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서로의 가장 중요한 산업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만큼 미중 무역 전쟁이 실제 발효하면 양국의 타격이 치명적일 것이란 것도 이 같은 가능성에 힘을 싣는다.

미국이 이번에 발표한 관세 목록은 성능 의료기기, 바이오 신약 기술, 산업 로봇, 통신 장비, 전기차, 첨단 화학제품, 반도체 등 특히 중국의 10대 핵심산업 육성 프로젝트인 ‘중국제조 2025’에 포함된 분야가 주를 이룬다.

중국이 집중 겨냥한 미국산 농식품과 대두 등도 자신의 표밭에 피해를 끼치기 때문에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트럼프 대통령에게 큰 부담일 수밖에 없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4일 “대화와 담판의 대문은 언제나 열려있으며 미국과 중국은 소통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국의 협상이 진행중임을 시사한 발언이라는 분석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