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농업을 근간으로 생활해 왔다. 어촌에서도 반농반어(半農半漁) 생활을 하였기에 가뭄에 대한 대책은 백성뿐만 아니라 나라에서도 적극적으로 강구했다.

벼농사에는 적절한 강우량이 필요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장마철에만 집중적으로 비가 내리고 그 전후에는 가뭄이 계속되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특히 가뭄이 계속돼 농작물의 파종이나 성장에 해가 있을 때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기우제’를 지내는데, 이를 ‘물제’라고도 했다.

농민의 생사를 좌우하는 것이 농사이고, 그 농사를 좌우하는 것이 바로 비였기 때문에 기우제에는 가능한 모든 방법이 동원돼 왔다.

우리 민족의 비에 대한 관심은 단군신화의 환웅이 풍백(風伯)·우사(雨師)·운사(雲師)를 거느리고 내려왔다는 기록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삼국시대에는 삼국이 각각 시조묘, 명산대천 등에 기우제를 올렸던 기록들이 ‘삼국사기’에 있다. 왕이 직접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도 있다.

기우제는 천지·산천·종묘·부처·용신 등에게 제를 지냈다. 비가 내리도록 비는 법회도 열고, 도교의 태일(太一)에 초제도 올렸다. 그 중 잦았던 것은 무당을 모아 비가 내리도록 비는 ‘취무도우’도 있었다. 많을 때에는 300명, 긴 날짜로는 6일씩, 흙으로 용을 만들고 비가 내리도록 빌기도 했다.

이처럼 기우제는 단순한 주술행위뿐 아니라 전통적인 종교의례의 형식을 따라 하늘에 비를 구하는 종교의 관념과 사상이 깊이 자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