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산학회와 해외한민족연구소가 주최한 간도학술대회가 18일 서울역사박물관 대강당에서 열렸다. ⓒ천지일보(뉴스천지)

간도학술대회, 국가적인 차원의 노력에 대한 부재 지적

간도협약 100주년이 되는 해를 맞았지만 국제사회가 여전히 간도를 분쟁지역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백산학회(신형식 회장)와 해외한민족연구소(이윤기 소장)가 공동주최한 ‘간도 및 재중국 조선족 문제에 대한 학술회의’가 18일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린 가운데, 국가적인 차원에서 간도분쟁지역 선포에 관한 정부의 노력이 미비했음을 토로했다.

발제에 앞서 이윤기 소장은 개회사를 통해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나서 제국시절에 체결된 조약은 모두 무효라고 했다”면서 “그런데도 100년이 지나도록 간도협약문제만은 그대로 남아 있다”고 밝혔다.

이 소장은 “간도문제는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정부가 이에 대해 대처를 못하니 유감이다”라며 “간도문제는 우리가 해결해야 할 역사적 과제로 제대로 연구하고 방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노영돈(인천대) 교수의 사회로 시작된 학술대회에서 발제를 맡은 조병헌(대한지적공사) 박사는 간도문제에 대한 국가적인 노력과 역사 교육의 부재를 지적했다.

조 교수는 “우리 정부가 공식적으로 분쟁지역으로 선포한 적이 없기 때문에 간도영역이 한·중간 분쟁지역이라는 사실도 모르고 있다”며 “분쟁지역의 선포와 홍보에 정부의 체계적인 노력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가차원에서 간도영역이 분쟁지역이라는 것을 국제사회에 널리 인식시켜 국제적인 공인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강조했다.

또 그는 “우리 국민들은 대부분 역사에 대한 교육이 후퇴해 간도영역의 문제에 대해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고, 중국이 우리 역사를 왜곡해도 그 내용을 잘 알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민간차원에서 교육과 홍보활동이 이뤄지고는 있지만 여전히 부족한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향후 간도영역의 관리방향으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국회에 북방영토담당기구의 확대 설치 ▲남북한 북방영토 관리 공동대응 및 정부의 청·일간도협약의 무효에 대한 정부의 공식적 입장 표명 ▲홍보활동 강화 ▲교과서 및 각종 지도에 간도영역의 위치·크기·모양의 게재 등을 제안했다.

이에 토론자로 나선 최장근(대구대) 교수는 “정부가 국제사회에 간도가 분쟁지역이라고 공식적으로 선포한 적이 없기 때문에 엄연히 따지면 간도는 분쟁지역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 외에도 이날 김원수(서울교육대) 교수가 ‘국제관계로 본 간도협약-글로벌히스토리의 시각에서’, 임영상(한국외대) 교수가 ‘중국조선족과 문화산업’, 정신철(중국사회과학원) 씨가 ‘중국의 민족정책과 조선족사회의 변화발전’이란 주제로 각각 발제했다.

이어 토론자로 이석우(인하대) 교수, 김우준(연세대) 교수, 정상화(세종연구소) 박사가 나서 발제에 대한 활발한 의견을 교류했다.

▲ 해외한민족연구소 이윤기 소장이 18일 서울역사박물관 대강당에서 열린 간도학술대회에서 개회사를 전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