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익 정치평론가

새누리당의 대선출마자들의 의지가 표명되고 있다. 김문수 도지사는 대선출마를 선언했고 정몽준 의원도 대선에 출마할 것이라고 한다. 또 이재오 의원도 대선출마를 고려하고 있다고 하니 박근혜 위원장을 포함해서 4명 정도가 가시권에 들어와 있다. 박근혜 위원장의 압도적인 여론의 지지가 유지되고 있는 중에 대선출마를 하려는 인물들의 지지율은 올라갈 기미가 보이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마를 하려는 사람들의 계산은 차기 대선의 후보가 되려는 것보다는 향후 정국의 중심에 서 보려는 정치적인 이유라고 생각한다.

정몽준, 김문수, 이재오 등은 비박연대를 구성해서 이들 전체가 합종연횡해서 박근혜에 대항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김문수 도지사가 출마의 변으로 새누리당에 대선후보 경선 방식으로 완전국민참여경선(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공식 요청하고 있다. 22일 출마 기자회견에서도 “완전국민참여경선이 대통령 본선의 경쟁력을 가늠하는 제일 좋은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선진국에서도 정치가 발전하면 그런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옹호했다. 여기에 정몽준 의원도 같은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새누리당 당헌에 따르면 ‘대통령후보자 당선자는 국민참여선거인단 유효투표결과 80%, 여론조사결과 20%를 반영해 산정한 최종집계결과 최다득표자로 한다’고 되어있다. 80%를 결정짓는 국민참여선거인단은 전당대회 대의원, 대의원이 아닌 당원 선거인,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공모한 선거인 2:3:3의 비율이다. 전체적으로는 ‘대의원:당원:일반국민:여론조사’의 비중이 2:3:3:2로 사실상 당원 및 대의원과 일반국민이 반반으로 되어있다.

이런 룰은 지난 2007년 대선전에 강재섭 당 대표 시절에 홍준표 혁신위원장이 수십 차례 회의를 통해서 얻어낸 결과이다. 이 선거 룰에 대해서 당시 친이계에서는 바꾸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한나라당은 이 룰을 지켜냈고 이 룰에 의해서 이명박 대통령이 탄생했다. 한나라당 시절인 2006 지방선거 때 서울시장, 광역단체장 선출도 이 방식으로 선거를 했으니 검증된 룰이라고 본다.

김문수 등이 주장하는 룰 변경의 이유는 자신들의 지지도가 낮고 당원들의 표심도 얻기 어렵다는 데서 출발한다. 그러나 김문수가 주장하는 완전국민경선제는 당의 존재자체를 부정하는 것으로 당원들의 역할을 없애버리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완전국민경선제로 하려면 당원제도 자체를 없애고 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2007년도에 당헌을 수정해서 만든 선거제도에서 당원의 뜻 50%와 일반국민의 뜻 50%를 반영한 이유는 홍준표 혁신위원장의 발표대로 당심과 민심의 조화라고 말할 수 있다고 본다. 국민경선제를 한다고 하더라도 지금의 지지율이 역전되거나 지지율 1~2%대의 후보들이 갑자기 30~40%가 될 수는 없을 것이다.

완전국민경선제를 주장하는 것은 당원을 무시하는 일이기도 하고 당의 존재를 부인하는 것과 같다고 본다. 당에서 후보를 정하고 그 후보가 국민들에게 선택을 받도록 하는 것이 정당의 역할에 맞다고 보는 것이다. 완전국민경선을 하는 나라는 없다. 미국도 제한적인 오픈프라이머리를 실시하고 있다.

기존의 구도에서 후보가 될 가능성이 없다고 경선의 룰을 바꾸자고 하는 것은 사욕에 불과하다고 본다. 공의를 거쳐서 오랜 동안 논의하고 토론해서 만든 제도를 불과 5년 만에 다시 바꾸자고 하는 것은 사리에 맞지가 않은 것이다. 당심과 민심에서 어느 한쪽도 유리하지 않으면서 굳이 경선의 룰을 흔들려고 하는 것은 제도를 파괴하자는 것과 같다. 박근혜는 새누리당에서 당내의 치열한 견제와 핍박을 딛고 일어선 이력 때문에 최고의 지지를 국민들에게 받고 있는 것이다. 박근혜의 지지율이 철벽이라서 각개로 싸우는 것이 힘들다면 반 박근혜를 대표하는 한 사람을 옹립해서 박근혜 대 반 박근혜 구도로 경선을 치르는 것이 조금이라도 유리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