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 연평도=송범석 기자] 지난해 11월 23일 오후 2시 30분경 북한은 대한민국의 영토 대연평도를 향해 170여 발의 포탄을 쐈다. 이 사건으로 우리 해병 대원 2명(故 서정우 하사·문광욱 일병)이 전사했고 16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민간인도 2명이 사망했고 3명이 크게 다쳤다.

재산 피해도 극심했다. 화재로 주택 25동이 완전히 무너졌고, 1동은 원래 형체의 반만 남았다. 일부 파손된 주택도 133동이나 됐다. 면사무소창고 양곡창고 보건소 관사 해경사무실 등도 군데군데 부서지고 산림 25ha(7만여 평)가 불에 탔다. 이 사건으로 연평도 주민 대부분은 삶의 터전을 등지고 섬을 떠나게 됐다. 주민은 생업인 꽃게·새우 조업 중단으로 먹고살 길이 막막해졌고 140여 명의 학생은 학교에 나가지 못하게 됐다.

휴전 이래 남북 간의 교전으로 민간인이 사망한 것과 북한이 직접적으로 우리 영토를 직접 조준해 타격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었다. 이런 이유로 국제 사회는 큰 관심을 두고 이 사태를 지켜봤다.

당시 중국을 제외한 각국 정부는 북한의 도발을 규탄했다. 그러나 북측은 우리에게 책임을 넘기며 ‘정당한 군사적 대응’이라고 강조했다.

포격 이후 북한은 “남측이 먼저 우리 영해에 포탄을 발사했다”면서 “이번 조치는 자위적 조치”라고 선전했다. 또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우리의 영해에 직접적으로 불질을 한 괴뢰대포를 정확히 명중타격했다”며 대한민국의 선제공격을 주장했다.

그러나 연평도 포격 도발은 북한의 철저한 계획에 따라 실시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후계자 김정은이 사전에 연평도 도발 준비를 지시한 정황이 포착됐다는 주장이 적지 않게 나왔기 때문이다.

일본 아사히 신문은 지난해 12월 1일 북한 소식통을 인용해 “김정은의 이름으로 지난달 초 ‘적의 도발 행위에 언제라도 반격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추라’는 지령이 조선인민군 간부들에게 하달됐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북한은 충분한 기간을 두고 공격 기회를 엿보고 있다가 한국군의 11월 23일 훈련을 구실로 포격을 감행했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북한 정권이 김정은을 ‘포병 전문가’로 미화하고 있는 점도 이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그렇다면 북한은 왜 연평도를 타격 포인트로 선택했을까.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북방 한계선은 북한이 보유한 서해안포에서 타격하기 적당하다는 점 ▲타격의 파급력이 크다는 점 ▲육지에 비해 확전 가능성이 적다는 점 등을 그 이유로 들었다.

이와 관련해 최용환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큰 틀에서 보면 불안정한 동아시아 정세를 이용해서 중국과 미국의 긴장을 유발하려는 의도가 있었다”면서 “구체적으로는 김정은 후계 체제 안착과 세습에 대한 불만 무마, 그리고 이명박 정부에 대한 압박 차원에서 일을 벌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