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추석인 1일 오전 경남 창원시 한 가정의 차례상 모습. ⓒ천지일보 2020.10.1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경남 창원시 한 가정의 추석차례상 모습. ⓒ천지일보DB

‘어동육서·홍동백서·조율이시’ 바탕으로

밥·국 위치에 송편으로 대신 할수도

밤·배·사과는 햇과일로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코로나19로 인한 명절모임 간소화로 인해 비대면과 랜선 추석차례상이 등장하면서 차례상 차림 방법에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설날과 추석에 지내는 제사를 차례(茶禮)라고 한다. 추석 차례(茶禮)는 봄여름 동안 가꾼 곡식과 과일을 수확해 조상에게 예를 올리는 의식이다.

차례 음식은 계절의 특식을 조상에게 올리는 제사이므로 추석 차례상에는 햅쌀로 만든 송편과 밤, 배, 사과 같은 햇과일이 오른다.

추석 차례상은 제사 상차림의 기본인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좌포우혜(左脯右醯,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 조율이시(棗栗梨枾, 서쪽부터 대추, 밤, 배, 감)를 원칙으로 하면서도 몇 가지가 다르다.

우선 적(炙, 불에 굽거나 찐 것)은 고기와 생선 및 닭을 따로 담지 않고 한 접시에 담아 미리 올리며 밥과 국의 위치에는 송편을 넣거나 떡의 위치에 송편을 올리기도 한다. 제상은 방위에 관계없이 지내기 편한 곳에 차리며, 신위(神位, 조상의 영혼이 의지할 곳)를 모실 위치에 병풍을 치고 그 앞에 제상을 놓는다.

차례상은 대개 다섯 열로 음식을 놓는데 1열은 신위를 모신 맨 앞줄로 수저, 술잔, 송편, 토란국을 놓는다. 토란국은 생략하기도 한다.

2열에는 전(煎)과 적(炙)을 올린다. 전은 대개 왼쪽부터 육적(구운 고기), 소전(두부 채소 부친 것), 어적(생선 구운 것)의 순서로 올리며 생선머리는 동쪽을 향하게 한다.

3열은 탕(湯)을 2열과 같은 순서(육탕→소탕→어탕)로 놓는다. 4열에는 말린 포, 나물, 간장, 나박김치, 식혜 등이 올라온다. 좌포우혜에 따라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에 둔다.

5열에는 조율이시에 따라 과일을 올린다. 배와 감을 바꾸기도 하며 그 외에 과일은 홍동백서(紅東白西, 제사상을 차릴 때 신위를 기준으로 붉은 과일 동쪽에 흰 과일 서쪽에 놓는 일)에 따라 올리는데, 특별한 순서는 없다. 한과나 약과는 오른쪽에 올린다.

특히 열매에는 특별한 의미를 담고 있다. 한 나무에 많은 열매가 맺히는 ‘대추’는 자손의 번성을 기원하는 마음이 담겨있으며, 밤은 자신의 근본을 잊지 않는 모습을 기원하며 올리는 의미가 있다. 배는 껍질이 황색을 띄는데, 오행에서 황색은 우주의 중심과 민족의 긍지를 뜻하며 배의 속살은 흰 색으로 백의민족의 순수함과 밝음을 나타낸다. 감은 감나무의 접붙임 특징을 통해 가르치고 배우는 아픔과 열매 맺은 감나무 안에 검은 신이 있는 것처럼 부모가 자식을 낳고 키우는데 속이 검게 타는 이치와 같이 부모를 생각하는 의미로 올린다고 전승돼 온다.

이 같은 상차림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간소화되고 있거나 지방마다 조금씩 다르다.

추석 차례상에 금하는 음식도 있다. 갈치나 삼치처럼 ‘~치’로 끝나는 생선이나 이면수와 메기처럼 길고 비늘이 없는 생선은 차례상에 올리지 않는다. 복숭아와 같이 털 있는 과일도 금하며 떡의 경우 붉은 팥이 아닌 흰 고물이 있는 것으로 올린다. 고춧가루나 마늘 양념을 한 음식도 올리지 않는다.

차례상 차림은 지역이나 가문마다 조금씩 다르나, 본 진설도는 어동육서(魚東肉西: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좌포우혜(左脯右醯: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 조율이시(棗栗梨枾:서쪽부터 대추, 밤, 배, 감) 원칙을 따른 것이다. (출처: 국립민속박물관)
차례상 차림은 지역이나 가문마다 조금씩 다르나, 본 진설도는 어동육서(魚東肉西: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좌포우혜(左脯右醯: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 조율이시(棗栗梨枾:서쪽부터 대추, 밤, 배, 감) 원칙을 따른 것이다. (출처: 국립민속박물관)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