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우 부산환경교육센터 이사

not caption

정씨 성을 가진 장군의 전설이 있는 정령치는 높이 1172m로 지리산의 대표적인 고개다. 서산대사 휴정의 황령암기(黃嶺庵記)에 의하면 마한의 왕이 진한과 변한의 침략을 막기 위해 정씨 성을 가진 장군에게 성을 쌓고 지키게 했다는 데서 유래됐다. 지리산 주능선이 쏙 들어오는 정령치는 동으로는 바래봉과 뱀사골 계곡이, 서쪽으로는 천왕봉과 세석평전 반야봉 등과 남원의 시가지가 한 눈에 펼쳐지는 지리산의 전망대다. 정령치는 지리산에서 차로 넘을 수 있는 가장 높은 고갯길이기도 하다.

노고단 길목에 있는 성삼재는 지리산 능선 서쪽 끝에 있는 고개로, 높이 1102m이다. 마한 때 성씨가 다른 세 명의 장군이 지켰던 고개라 하여 성삼재라는 이름이 붙었다. 고갯마루에 주차장과 휴게소, 전망대 등이 조성돼 있다. 성삼재는 지리팔경인 ‘노고운해’로 잘 알려진 노고단(1507m)의 길목이다. 지리산 서쪽의 최고봉인 노고단에서 삼도봉, 연하봉, 제석봉을 거쳐 정상인 천왕봉까지 45㎞에 걸친 장대한 주능선은 지리산 종줏길로 우리나라 최대 최고의 산행코스이기도 하다. 원래는 화엄사에서 산행을 시작했지만 지리산도로가 생긴 뒤부터는 성삼재에서 곧바로 노고단으로 오른 뒤 시작하는 것이 일반화됐다.

그런데 이 모든 걸 수월하게 한 것이 바로 지리산 일주도로와 주차장과 휴게소 등의 부대시설이다. 지리산국립공원 서북부를 관통하는 성삼재·정령치 도로는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정부가 IBRD 차관 등 예산 68억원을 들여 직접 건설했다. 성삼재를 관통하는 지방도 861호는 천은사에서 성삼재를 거쳐 반선까지, 정령치를 넘는 지방도 737호는 고기삼거리에서 달궁삼거리를 2차선 포장도로로 1988년 개통됐다.

또한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지난 1991년 성삼재 도로를 이용해 성삼재에 오르는 차량을 수용하기 위해 지리산 노고단 입구에 성삼재주차장을 건설했다. 이어 1993년에는 정령치 주차장도 건설했다. 성삼재주차장은 지리산 노고단 초입 해발 1100m에 백두대간 마루금을 허물고 축구장 2.7배 크기로 조성했고, 정령치 주차장은 해발 1172m 지점에 축구장 한 개에 맞먹는 4865㎥ 넓이로 건설됐다.

하지만 이 도로와 주차장 개통 이후 야생동물 로드킬이 매우 잦고, 서식처가 잘리고, 이동통로가 단절되면서 이 도로가 지리산국립공원 서북부 일대 자연 생태계 훼손의 주범이라는 지적을 끊임없이 받고 있다. 특히 1988년 지리산을 관통하며 건설된 ‘성삼재도로’는 지리산국립공원의 생태계를 동서로 단절했고, 도로를 건설하면서 심은 외래수종 나무들로 지리산국립공원 생태계, 경관 등은 이질적으로 변화했다.

이 도로에 이어 1991년 백두대간 마루금을 허물고 건설된 성삼재주차장은 지리산을 유락지로 만들어 놓았다. 성삼재도로를 이용하는 연간 50만대 이상의 차량에서 발생하는 자동차 배기가스와 소음은 대기환경 기준을 초과했으며 성삼재 휴게소는 서울시 월평균 60㎍/㎥ 보다 훨씬 높은 수치(101㎍/㎥)가 된 지 이미 오래다. 더욱이 정령치주차장은 국립공원 중에서도 보전의 강도가 가장 높은 자연보존지구에 건설됐다. 자연공원법에 의하면, 자연보존지구는 생물다양성이 특히 풍부한 곳, 자연생태계가 원시성을 지니고 있는 곳이다. 보존이 필요한 곳이 파괴되고 개발됐음을 의미한다.

사정이 이럴진데 우리나라 최상위 보호지역인 국립공원, 국립공원 중에서도 보전의 강도가 가장 높은 자연보존지구, 우리나라 3대 생태축 백두대간의 중심인 마루금에 위치한 정령치와 성삼재의 주차장은 이제 자연에 반환해야 할 때가 된 것 아닐까? 이제 인간의 편리만을 위해 자연을 무분별하게 훼손하던 삶에서 벗어나 자연을 보존하고 훼손시킨 자연을 복원하고 회복하는 정의로운 전환의 삶을 추구해야 할 때가 되지 않았을까.

지난 8월 6일은 성삼재, 정령치 도로의 정의로운 전환과 성삼재, 정령치 주차장 철거를 요구하는 지역사회의 ‘행동’이 있던 날이었다. 이들은 자연보존지구이며 백두대간 마루금에 위치한 정령치 주차장과 백두대간 마루금 상에 위치한 성삼재 주차장의 철거를 요구했다. 기후위기시대, 지리산국립공원 1100m 고지대까지 탄소 발생 차량들이 제한 없이 올라가도록 놔두고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이 탄소중립 실현, 그린뉴딜을 이야기하는 것이 이치에 맞냐며 행동에 나선 것이다.

이제 지리산 국립공원 보전에도, 지역사회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 도로와 주차장 시설, 성삼재와 정령치는 변해야 하지 않을까?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도 지금 당장 필요한 일이 아닐까? 이제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이에 답해야 할 차례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