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경험한 111년만의 폭염이 올여름에도 나타날 모양이다. 기상청은 20일부터는 지금보다 더한 열돔 형태의 폭염이 찾아올 것을 예고했다. 한반도 상공의 고기압 정체가 언제 사라질지는 예측하기 어렵다. 백신접종 확대로 마스크를 벗을 것이라던 기대는 백신가뭄으로 꿈이 됐고, 코로나19 4차 대유행에 폭염까지 겹치면서 그야말로 최악의 여름을 맞고 있다.

여기에 더 두려운 것이 있으니 바로 블랙아웃(전력대란)이다. 15일 전력거래소가 연이틀 피크시간대 전력공급 예비율을 한자릿수대로 예고했다. 2011년 9.15 정전 사태가 또다시 올지도 모른다. 실제 현재 전력예비율은 10% 턱걸이 수준이다. 이러다 정부가 실내 온도를 측정하면서 제한하는 것이 일상이 될 수도 있다. 전기를 아껴 재난에 대비한다는 데 약간의 고통을 감수할 수는 있다. 하지만 블랙아웃 우려가 정부의 멀쩡한 월성1호기를 조기폐쇄하는 등 탈원전 정책 때문이라면 얘기는 달라진다.

원전의 안전성과 친환경성은 이미 과학자들을 통해 검증됐다. 원전을 가동하면서 발생하는 수소는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부분이다.

원전 폐기 문제를 보완해 나온 것이 소형모듈원자로고, 우리나라는 세계최고 원전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과거 정부가 원전산업을 육성한 이유는 원전이 가진 친환경성과 효율 때문이었다.

미국과 프랑스는 최근 기후변화대응책의 하나로 원전사업을 육성하고 있다. 막연한 두려움이 아닌 과학적 근거에 기인한 정책은 ‘블랙아웃’ 우려도 해소하고 있다.

만약 현재와 같이 온 국민이 강제 칩거해야 하는 상황에 에어컨까지 마음대로 켤 수 없는 상황이 온다거나 블랙아웃이 현실로 도래한다면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끔찍한 고통이 가중 될 것이다. 블랙아웃으로 인한 재앙은 사실 코로나19보다 광범위하고 직접적이며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 예상된 재난을 방치하다 터지면 ‘사과’ 한마디로 끝날 일이 아니다. 문재인 정부는 블랙아웃이 초래 되면 ‘국민이 전기를 많이 써서’ ‘폭염 때문’이라고 또 국민 탓이나 날씨 탓을 할지도 모른다.

1초가 전기가 나가도 초비상상태가 되는 상황은 병원, 금융, 공장 등 헤아릴 수 없이 많다. 하지만 분명한 건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것은 국가의 책임이다. 국민에게 코로나19와 폭염보다 무서운 블랙아웃의 고통을 안기기 전에 탈원전 정책 폐기를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