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최계획 바꾸려면 IOC 동의받아야… 탈락도시 반발 가능성
국민여론 73.3% ‘반대’… 현실적 걸림돌도 너무 많아

(서울=연합뉴스) 강원도 평창이 유치한 2018 동계올림픽의 남북한 공동 개최 가능성이 새삼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정치권 일각에서 공동 개최 필요성을 먼저 거론한 상황에서 북한의 체육계를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북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이 이 구상에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북한의 장웅 IOC 위원은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총회 참석차 13일 일본으로 들어가는 길에 평창 동계올림픽의 남북한 공동개최 구상에 대해 "그렇게 되길 바란다"는 의견을 밝혔다.

장 위원의 이번 발언은 국내에서 공동개최 문제가 한 차례 논란을 불러일으킨 뒤 나온 북한의 공식 입장으로 해석돼 주목을 끌고 있다.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지난 11일 "평창 동계올림픽을 남북 공동으로 개최하는 방안을 심각하고 진지하게 검토하겠다"며 "평창올림픽을 통해 대한민국 분단사의 전기를 만들고 세계평화의 전환점을 만들 것"이라고 말해 남북 공동개최 논란에 불을 지폈다.

하지만 남북 공동 개최는 실현되기가 쉽지 않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우선 민주당 소속인 최문순 강원지사도 11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취지에는 전적으로 동의하지만 IOC와의 계약 변경, 북측 경기장 건설, 남북관계 등 여러 가지 기술적 문제들이 있다. 정교하게 따져봐야 한다"며 신중한 견해를 나타냈다.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지난 9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남북 분산 개최에 대해 반대가 73.3%로 찬성(18.0%) 의견을 압도했다.

이는 국내에서 공동 개최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가 주류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평창 동계올림픽의 남북 공동 개최를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걸림돌이 너무 많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는 대목이다.

전문가들은 공동 개최는 국가가 아닌 도시에 올림픽 개최권을 주는 IOC와의 약속을 깨뜨리는 일이라고 지적한다.

평창 등 올림픽 유치 후보도시들은 이미 종목별 개최 지역과 경기 일정을 담은 유치계획서를 IOC에 제출한 뒤 IOC 위원들의 최종 평가를 받았다.

애초의 계획을 수정하려면 다시 IOC의 동의가 있어야 하고, 이 과정에서 탈락한 후보 도시들의 반발을 불러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이번 유치 과정에서 평창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은 콤팩트한 경기장 배치였다.

하지만 북한과 함께 대회를 치를 경우 이동 거리가 길어져 평창 동계올림픽의 장점이 무색해질 수 있다.

군사분계선을 넘나들어야 해 관중이 자유롭게 왕래하기도 쉽지 않다.

또 북한의 경기장 시설이나 인프라 확충, 이에 드는 비용과 사후 활용 문제 등 풀기 어려운 문제가 너무 많은 것도 공동개최 가능성을 현실적으로 낮춘은 요인으로 꼽힌다.

박용성 대한체육회장이 최근 "남북한 분산 개최와 같은 말은 사정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나오는 얘기"이라고 잘라 말한 것은 그런 배경에서다.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를 추진했던 노무현 정권 때도 이런 한계들 때문에 남북 공동 개최를 프레젠테이션에서 제외했었다.

그나마 일부 경기의 분산 개최는 공동 개최보다는 성사 가능성이 있다.

평창에서 경기 대부분을 치르고 일부 종목의 경기를 북한에서 개최하는 것으로, 한반도의 평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대의명분이라면 IOC도 동의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배경이 다르긴 하지만 1956년 멜버른(호주) 하계올림픽 때 말의 질병위험 및 검역상의 문제로 승마경기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렸다. 2008년 베이징(중국) 올림픽 승마 경기도 같은 이유로 홍콩에서 치러졌다.

하지만 북한이 공동 개최보다도 실효가 적은 분산 개최 제안을 받아들일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이런 이유로 남북 단일팀 구성조차 쉽지 않은 상황에서 동계올림픽의 공동 또는 분산 개최를 거론하는 것은 순전히 정치적인 접근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남북한은 1991년 포르투갈에서 열린 20세 이하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대회와 그해 일본 지바에서 열린 세계탁구선수권대회에서 단일팀을 꾸려 출전했다.

하지만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 같은 종합대회에서 단일팀을 구성한 적은 없다.

북한이 전력 차를 인정하지 않고 종목과 대표 선수 수, 심지어는 선발 출전 선수 수까지 똑같이 하자고 요구해 불발됐던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때처럼 단일팀 구성도 장담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