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스템 리스크 요인 설문조사 결과 (제공: 한국은행) ⓒ천지일보 2021.6.11
금융시스템 리스크 요인 설문조사 결과 (제공: 한국은행) ⓒ천지일보 2021.6.11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국내외 경제·금융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최대 리스크 요인으로 ‘가계의 높은 부채’를 꼽았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가계부채로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소비를 억제하는 등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다.

더불어 글로벌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미중 갈등 심화,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 등이 올해 새로운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떠올랐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은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코로나19 재확산 및 백신 접종 지연 가능성,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으로 조사됐다. 금융시스템 리스크는 금융기능이 마비되면서 실물경제까지 심각한 타격을 받는 상황을 의미한다.

한은은 지난달 10일부터 25일까지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과 금융업권 별 협회 및 금융·경제 연구소 직원, 해외 금융기관 한국투자담당자 등 82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한은은 지난 2012년부터 매년 2차례 국내외 금융기관 종사자와 금융 전문가를 대상으로 서베이를 진행하고 있다.

단순 응답빈도수 기준으로 응답자들의 46%는 가장 큰 리스크 요인으로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을 꼽았다. 직전 조사인 지난해 12월엔 최대 리스크로 ‘코로나19 장기화 가능성’이 꼽혔던 것을 고려하면 국내외적으로 백신 접종이 이뤄지면서 순위가 바뀐 것으로 분석된다.

그 뒤로 코로나19 재확산 및 백신 접종 지연 가능성(37%), 글로벌 인플레이션(37%), 미중 갈등 심화(34%), 글로벌 자산 가격 상승 및 급격한 조정(34%), 부동산시장 불확실성(29%) 순으로 집계됐다.

고용·가계 소득 부진과 자영업자 업황 부진도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조사됐지만 응답 비중이 작년보다 줄었다.

1순위 응답빈도수 기준으로는 코로나19 재확산 및 백신 접종 지연 가능성(16%), 글로벌 인플레이션(15%),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14%)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응답자들은 1년 이내의 단기적인 리스크로 코로나19 재확산 및 백신 접종 지연 가능성, 글로벌 자산 가격 상승 및 급격한 조정을 꼽았다.

1~3년 중기에 현재화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는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글로벌 인플레이션 ▲미중 갈등 심화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등이 지목됐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