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교과서 정책연구학교로 지정된 전국 130여 곳에서는 현재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있다. (천지일보 DB)
맞춤 학습, 교육 격차 해소 가능
[천지일보=장요한 기자] 그동안 교과서와 참고서, 사전과 공책 등을 모두 넣어 무거운 책가방을 메고 다니던 초중고생들의 어깨가 가벼워지게 된다.

2015년까지 모든 초중고 교과의 종이 교과서를 대체할 ‘디지털 교과서’가 개발되기 때문이다. 또 학생들은 자신의 수준과 적성, 필요에 맞는 교과목을 온라인 수업으로 들을 수 있고 각종 평가도 온라인을 통해 시행한다.

이에 따라 몸이 아파 장기간 결석하는 학생은 병원에서 인터넷 기기를 활용해 수업을 들을 수 있게 된다. 황사주의보나 집중호우로 휴교령이 내려도 온라인 수업을 실시해 수업일수 결손을 걱정하지 않고 진도를 나갈 수 있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스마트 교육 추진 전략’은 교육과학기술부(교과부)와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가 29일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정보통신(IT) 기술과 스마트 기기의 확산에 발맞춰 획기적으로 학교 현장의 모습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 교육은 학교가 표준화된 지식을 평균 수준에 맞춰 대량 전달하던 기본 방식에서 벗어나 개인의 수준과 특성에 맞는 맞춤형·자기 주도적 학습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총 2조 2281억 5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하며 이 중 절반 정도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증액분으로 충당한다.

스마트 교실 어떻게 운영되나
종이 교과서가 당장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당분간 종이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는 병행 사용하게 된다.

디지털교과서는 정형화된 형태라기보다는 일종의 콘텐츠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해 모든 디지털 교과서 내용이 인터넷 서버에 저장되는 기술 방식으로 학생들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내용을 PC나 태블릿PC, 스마트폰, 스마트TV 등 다양한 단말기에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다.

2007년부터 디지털 교과서가 시범 활용되고 있지만 아직 교과서로서 법적 지위를 부여받지는 못한 점과 검·인증 체제의 변화, 저작권 문제 등은 해결 과제로 남아 있다.

교과부 관계자는 “디지털 교과서에 종이 교과서와 같은 법적 지위를 부여하기 위해 유관기관과 협의해나가고 있다. 교과서에 쓰이는 자료의 경우 온라인 전송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각종 제도를 개선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달라지는 수업 형태에 교사들을 적응시키기 위해 내년부터 매년 전체 교원의 25%를 대상으로 스마트교육 연수를 실시하고 모든 교사에게 교육용으로 스마트 기기를 보급한다.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실질적으로 교실 내에서 모든 수업이 다 이뤄지려면 교수들의 연수나 수업 방식이 다 바뀌어야 한다”며 “교실이 완전히 변화해야 한다”고 교사의 역량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모든 교육이 디지털화되면서 인성교육의 문제나 교육격차 문제로 심화될 수 있는 우려에 대해 이 장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PISA)가 최초로 실시한 ‘2009 디지털 읽기 소양평가(DRA)’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이 장관은 OECD와 PISA에서 평가한 이번 조사 결과에서 “우리나라에 있는 사회계층이 4개 계층으로 나뉘었어도 이 계층 간 평균점수는 좁았다”며 “외국에 비해 우리가 디지털 미디어를 액세스 할 기회가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번 ‘디지털 읽기 소양 평가’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넷 정보를 수집·적용·종합하는 능력을 점검하는 조사로, 한국이 1위를 기록했다.

이 장관은 이번 조사에서 상·하위 학생 간 점수 차는 88점으로 OECD 평균(120점)보다 32점이 낮아 전체 참여국 중 편차가 가장 적었다“며 “외국에 비해 우리가 디지털 미디어를 액세스 할 기회가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장관은 “이런 상황은 오히려 우리가 스마트 교육을 하게 되면 교육 격차를 더 줄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고 전망했다.

저소득층 학생들에게는 스마트 기기 등을 우선적으로 지원하고 장애인 학생도 배려해 디지털 격차를 해소한다. 정부는 지난해 저소득층 자녀의 교육 정보화(PC 보급, 통신비 지원)를 위해 18만 7000명에게 498억 원을 지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