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가 이건희 컬렉션의 시가 감정을 끝내고 최종 보고서를 마무리했다. 약 5개월 감정결과 1만 3000여점의 총액은 2.5~3조원대로 추정된다. 이중 절반가량이 기증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특히 ‘이건희 컬렉션’으로 불리는 미술품의 경우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등에 기증하고 해외 미술품 등 나머지 작품은 삼성미술관 리움과 호암미술관으로 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국보급을 포함한 거장들의 미술품이 기증된다는 소식에 미술품 물납제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물납제란 상속세 대신 고가의 미술품 문화재 등을 납부하는 것을 말한다. 현행법은 부동산과 유가증권에 국한해 세금 대납을 허용하는데, 감정평가 시스템을 만들어서 그 대상을 문화제와 미술품까지 확대하자는 것이다. 미술계는 오래 전부터 물납제를 요구했다. 이유는 국보나 거장의 작품을 해외로 반출하지 않고 국내 박물관 등에 전시함으로써 얻는 이익이 크고 미술품 거래도 활성화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세금 회피 수단이 될 수 있고 가치평가도 쉽지 않다는 이유로 반대도 만만치 않았다.

이건희 회장이나 삼성가의 문화재, 미술품 안목은 이병철 회장 때부터 남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문가 기준으로 3조원이라고 하나 경매에 내놓으면 세계적인 부호들이 달려들어 얼마에 거래될지 모른다.

중요한 것은 이럴 경우 주요 미술품이 해외로 반출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자유 민주주의 국가에서 부를 축적한 것이 죄가 될 수는 없다. 게다가 국보급 문화재나 거장의 작품을 사재를 들여 모은다는 것은 해외 반출을 막고 문화 발전에도 기여하는 측면이 크다. 이런 점에서 검증된 작품을 현금 대신 국가에 납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우려되는 부분의 보완책을 마련한다면 물납제가 미술계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다. 일본이나 프랑스, 영국, 독일은 일찌감치 물납제를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 파리의 피카소 미술관도 바로 대물변제로 만들어진 대표적인 사례다. 이번 이건희 컬렉션 일부 기증을 계기로 정부가 미술품 물납제를 적극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