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맹기 서강대 언론대학원 명예교수

not caption

인공지능(AI) 시대가 성큼 우리의 주변에 다가왔다. 농사를 짓는 데, 집을 짓는 데, 공장을 돌리는 데 기사를 쓰는 데 그리고 심지어 요즘 인기가 좋은 유튜브 운영까지 AI의 도움을 받는다. 이 일들은 거의 대부분 데이터가 컴퓨터에 입력이 되면서 연산 작용이 가능하다. ‘지구촌’에서 축적된 데이터는 모든 영역이 함께 융합 된다. 세계의 모든 시민은 한 망 속에서 웃고, 울고, 직업을 갖게 된다. 이런 황당한 상황에서 어디에 초점을 잡아야 할지 의심스럽다. 4차 산업 혁명의 시대가 온 것이다. 정보사회가 최첨단으로 진입하고 있다. 과거 에 기자는 하루에 한 번 기사를 올리면 끝났다. 그러나 인터넷의 글과 동영상을 취급하는 관리자는 하루에 몇 번이고, 그 기사를 손질 하고, 다시 올린다.

유튜브에 빈번히 동영상을 올리는 조선일보 김광일 논설위원(3.12)은 ‘유튜브 알고리즘, 내 삶의 알고리즘’에서 ‘근면 성실 정직’이 유튜브의 AI를 다루는 관리자의 자세라고 한다. 유튜브 전문가가 4시간 동안 강의를 하고 이 말을 남기고 끝났다고 한다. ‘지구촌’ 세계 시민을 상대로 하는 유튜브는 시간과 공간의 가상세계에서 소통한다. 지구가 돌고 돌아, 아침과 저녁의 구별이 없다. 여기는 낮이지만, 지구 반대편은 밤이다. 그들과 상대를 하는 유튜버들은 밤과 낮의 구별이 모호하다. 한 번의 기사나 동영상으로 절대로 클릭수가 늘어나지 않는다. 세계에 퍼져 사는 교포만도 800만명이나 된다.

처음 유튜브를 시작하면 클릭수가 전혀 늘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요즘 우익 인사들이 글을 쓰면 ‘대깨문’ 15만명(서울 기준)이 노란 딱지를 붙여댄다. 그리고 구글 본사에서도 시도 때도 없이 AI 힘으로 동영상을 정지시킨다. 그렇게 긴장하는 유튜버 운영은 전쟁터에 나간 전사와 다를 바가 없다.

‘소득주도성장’ ‘불로소득 주도 성장’ ‘투기 조장’ 등 국내의 분위기와 세계시장은 전혀 다르다. 국내 노동법은 실업자․해고자의 노조 가입을 허용하고 사업장 출입과 점거까지 가능하게 노동조합법을 개정했다. 북한 모양으로 이념과 코드로 신분집단을 만들어 갈 모양이다.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한 가운데 그 사회 특성도 모르는 인사들이 청와대를 점거하고 있다. 박근혜 정부 때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기 하기 위해 ‘창조경제센터’를 만들고 대학과 기업, 지역 사회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도록 했다. 정보의 융합을 시도한 것이다. 그 때 기초를 다진 것은 물론 아니다. 벌써 뒤르깽(Emile Durkheim)은 1897년 ‘자살론(Suicide)’에서 사회적 사실(social facts)을 언급했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에서 말하는 사물(things)이 사실(facts)이다. 공정성, 공익성이란 말도 정보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말이다. ‘사회적 사실’은 보편성, 강제성, 전달성을 갖는다. 개인의 정신세계가 파편이 돼 밖으로 튀어나온 것이다.

그게 진실로서 ‘out there’로 위치한다. 사물(사실)은 유용한 물품처럼 취급할 수 있다. 전신이 처음 발명됐을 때, 그 물건은 전신을 통해 물품 견적서로 돌아다녔다. 이로 인해 예측이 가능한 사회가 만들어졌다. 사회적 사실은 개인이 밖으로 보냄으로써 나의 뇌 밖에 존재하면서 나를 통제한다. 실증적 과학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뒤르깽은 꽁뜨(August Comte)와 스펜스(Herbert Spencer)가 사회학을 연구한 것이 아니라 철학을 말했다고 비판했다(George C. Homans, 1961). 그는 그들의 철학적 사회학을 수용하면서, ‘자살론’에서 ‘사회적 사실’을 대안으로 언급했다. 그는 정보를 ‘사물’로 간주했다. 개인의 사고의 코드를 사적에서 공적으로 변화시켜주면 된다. 사적 개인은 자신을 객관화 시키고, 그게 나를 통제하게 한다. ‘사회적 사실’로 만들어준다. 사회주의, 공산주의, 공동체, 소득주도성장 등을 이야기할 필요가 없다. 누구든 정보를 잘못 취급하면 당장 ‘압력’이 작동한다. 정보는 내보내는 것은 자유이지만, 책임이 뒤따른다. 이 정보는 시장사회뿐만 아니라, 공동체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천광암 동아일보 논설실장(03.15)은 〈기는 ‘문재인 보유국’ 뛰는 ‘차이잉원 보유국’〉이라고 했다. AI 시대의 융합은 복잡한 시장사회를 만들어 간다. 이념과 코드에 의한 ‘문재인 보유국’과 대만은 전혀 다르다. 청와대는 정치광풍 사회, 즉 제로섬 소사이어티를 만들어간다. 한 사람이 가지면 다른 사람이 가질 수 없다. 정치 사회는 하부구조가 위약해, 다원성이 부족하다. 그러나 다원주의 사회의 기업은 많은 성장 사다리를 놓을 수 있다. 이 논설에서 “경제정책의 요체는 ‘사다리’와 ‘그물(안전망)’의 조화라고 한다. 경쟁에서 밀려난 사람이나 사회적 약자들에게는 튼튼한 그물이 필요하다. 하지만 경제가 성장하려면 소기업은 중기업으로, 다시 중기업은 대기업으로, 하류층은 중류층으로, 중류층은 상류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사다리가 많아야 한다.

이런 점에서 차이노믹스는 균형을 잡아왔다. 하지만 J노믹스는 세금알바 같은 ‘그물’에만 매몰돼서 성장 사다리에 별 관심이 없다. 한술 더 떠서 한국의 정부·여당은 세금폭탄으로 사다리 위에 있는 사람을 끌어내려야 직성이 풀린다”라고 했다. 소득주도 성장의 허구가 밝혀진 것이다. 여기서 만든 정치광풍 사회는 AI 시대의 비극이었다. 지금까지 쌓아올린 산업생태계를 청와대가 적폐로 취급하고 뭉개버린 것이다. 해당 논설에서는 “가장 중요한 것이 ‘민간’을 보는 관점이다. 차이 총통은 ‘정치 분야에서는 함께 힘을 모아 큰일을 이루기가 어렵지만, 민간 부문은 많은 사람의 참여를 끌어내 큰일을 이룰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이에 비해 문 대통령은 ‘민간 기업=개혁 대상’이라는 운동권적 시각에 발목이 잡혀 있는 모습이다”라고 했다.

지금 청와대는 ‘지구촌’ 시대를 잘못 읽는 것이다. 김광일 논설위원은 “어떤 해외 전문가는 유튜브 알고리즘을 이렇게 말한다. ‘구독자 수, 조회수, 영상 길이, 시청자가 그 영상에 머무는 시간과 비율, 시청자가 유튜브에 들어와 첫 영상으로 봤는가, 시청자가 그 영상을 보다가 빠져나갔는가’ 등이다”라고 했다. 그 다양한 변수에 의해 구글 회사는 유튜버들에게 돈을 지불한다. 그게 컴퓨터 AI로 전부 기록이 된다. 구글 회사는 이 모든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합리성을 찾아냈다. 그 시장에서 승자는 ‘근면 성실 정직’을 생명으로 한다. 그게 AI 시대의 경제학이고, 시장사회의 활성화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