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한은 ‘고용상황 악화가 신규 대졸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좁아진 취업문을 뚫고 취직한 대졸 신규 취업자가 임금 손실에 시달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로 실업률이 0.5%p 상승하면서 지난해와 올해, 내년 신규 대졸 취업자들의 1~2년차 연간임금이 약 2.15%, 3~4년차에 1.15% 낮아지는 등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국은행 오상일 차장과 이상아 조사역이 15일 발표한 BOK이슈노트 ‘고용상황 악화가 신규 대졸자에 미치는 장단기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실업률이 치솟는 경기침체에 따른 실업률 상승은 노동시장에 신규 진입한 신규 대졸자의 임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그 영향이 3~4년차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비교적 시계열이 긴 한국노동패널(1998∼2019년)을 통해 고용상황 악화의 영향을 분석했다. 특히 노동시장 충격이 신규 졸업자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명확히 식별하고자 범위를 신규 대졸자로 한정했다.

대졸자의 졸업연도 실업률이 1%p 상승하면 1~2년차 연간 임금은 4.3% 낮아지고, 3~4년차에도 2.3%의 임금 손실을 겪게 될 것으로 추정됐다.

이처럼 시간이 흘러도 임금이 회복하지 못하는 것은 일종의 상흔 효과(scarring effect)로 하향취업이 늘고 기술축적 기회 상실과 비효율적인 구직활동, 승진 기회 부족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대학별로 중·하위권과 2년제 대학 신규 졸업자가, 전공으로는 인문계 졸업자에게 부정적인 충격이 컸다. 중·하위권 대학은 대학평가 기준 상위 30개 대학을 제외한 4년제 대학을 의미한다.

또 대학 졸업 당시에 발생한 노동시장 충격은 대기업 취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됐다. 졸업 연도 실업률이 1%p 오르면 대기업 취업 가능성이 1∼2년 차에 3.5%p, 3∼4년 차에 2.3%p 내려간 것이 그 증거다.

이를 작년 실업률에 대입했을 때 지난해 실업률이 과거 10년 평균치 대비 0.5%p정도 상승한 점을 감안하면 졸업 1∼2년 차에 대기업에 입사할 확률이 1.75%p만큼 떨어지는 셈이다.

졸업 연도의 실업률 상승으로 남성은 5∼6년 차까지 2∼5% 임금이 줄었다. 반면 여성은 임금 손실률(0.7∼2.9%)이 비교적 낮았다. 여성의 경우 결혼과 고용 간 음(-)의 상관 관계가 높은 영향이라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가 신규 진입하는 대졸자에게 상당 기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은 대학과 전공에 따라 차별적일 수 있다”며 “고용상황 악화가 상흔효과, 이력현상 등의 구조적 문제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