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곤 역사 칼럼니스트/ `임진왜란과 호남사람들' 저자

1898년 3월 10일 오후 2시에 서울 종로의 저잣거리에서 민회(民會)가 열렸다. 이날 ‘독립신문’에는 행사 예고 기사를 실었고, 독립협회 회장 이완용과 고문 서재필은 전면에 나서지 않고 뒤에서 은밀히 행사를 준비했다.

민회에는 1만여명의 시민이 모였는데 당시 서울 인구가 19만 6천명임을 감안하면 대성황이었다.

민회(民會)에서 시민들은 쌀장수 현덕호를 회장으로 선출하고 백목전(白木廛) 다락 위에서 시민들이 연설을 했다. 현공렴, 이승만 등 배재학당과 경성학당 학생들도 연사로 나섰다. 이들은 러시아의 절영도(부산 영도) 석탄고 기지 조차(租借) 요구 철회와 한러은행 철수, 그리고 러시아 군사교관과 재정 고문 알렉세프의 해임을 요구해 집회를 이끌었다.

이 모임에는 러시아 공사 스페이에르, 배재학당 교장 아펜젤러를 비롯한 많은 외국인들이 관람했는데 집회 열기가 가득하자 서울의 외교계와 정부는 큰 충격에 빠졌다.

이 집회는 ‘글이 아닌 말’로 정치참여 길을 열었고, 민중과 연사가 독립 수호를 위한 결의를 내외에 과시했다. 이 모임에 만명이나 모이자 나중에 사람들은 ‘만민공동회’라 불렀다.

이러자 고종은 만민공동회의 열기와 러시아 측의 압력 사이에서 고심하면서 대책 마련에 부심했다.

우선 고종은 원로대신 김병시와 조병세에게 칙사를 보내어 의견을 물었는데, 이들은 러시아 이권 침탈을 우려했다.

고종은 3월 11일 밤에 내각회의를 열었다. 김홍륙·민종묵 등 친러파들은 러시아의 원조가 절실함을 내세워 군사교관과 재정고문 철수를 반대했다. 그러나 다른 대신들은 만민공동회의 민의와 원로대신들의 권유에 따라 러시아의 압력 거절을 주장했다. 이러자 고종은 결단을 내려 군사교관과 재정 고문 철수를 결정했다.

3월 17일에 러시아 정부는 “한국 민중의 여론이 이와 같으면 재정 고문과 군사 교관들을 철수하는 것이 가하다”고 주한 러시아 공사에게 훈령을 내렸고, 러시아 공사는 이를 정부에 통고했다.

3월 24일에 고종은 러시아 재정 고문과 군사교관을 파면했고, 뒤이어 3월 1일에 개설된 한러은행도 문을 닫았다. 이어서 일본도 절영도 석탄고 기지를 반환했다.

그런데 러시아의 한반도 후퇴가 만민공동회의 반대 때문이었을까. 이는 독립협회 활동을 과대평가한 것이다. 러시아의 한반도 후퇴는 러시아의 극동 정책의 변화에서 비롯됐다. 러시아의 관심이 한반도에서 만주로 넘어갔기 때문이다.(최문형 지음, 한국을 둘러싼 제국주의 열강의 각축, 지식산업사, 2001, p250~251)

1897년 11월에 독일 함대는 독일 선교사 살해를 이유로 청도가 위치한 교주만을 점령했다. 러시아는 독일의 교주만 점령에 대한 대책으로 1897년 12월 19일에 여순, 대련을 점거하고 1898년 3월 27일에는 요동반도를 조차했다.

러시아의 이 같은 조치는 영국과 일본으로서는 한국과 만주를 동시에 침략하려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영국과 일본은 즉각 대응조치를 취했다. 이러자 러시아 외상 무라비예프는 “지금의 정세로서는 한국에서 일본에게 상당한 양보라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판단해, 1898년 1월 7일에 러시아 주재 일본 공사 하야시 타다시에게 “한국에 대해 러시아는 일본과 협상할 용의가 있다”는 제의를 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일본은 러시아에게 만주와 한국을 맞교환하자고 제의했지만 러시아는 거부했다. 그 대신 러시아는 독립협회의 반러운동을 계기로 한국에서 잠시 물러난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