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에 수출할 컨테이너들이 쌓여 있는 모습. ⓒ천지일보DB
부산항에 수출할 컨테이너들이 쌓여 있는 모습. ⓒ천지일보DB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작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한국 성장률이 -1.0%로 미끄러졌다. 그래도 주요국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3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작년 한국의 실질 성장률은 -1.0%로 관련 자료가 발표된 15개 주요국 가운데 세 번째로 높았다. OECD는 회원국과 중국,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비회원국이지만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국가의 성장률 발표치를 모아 공개하고 있다.

OECD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성장률은 중국(2.3%), 노르웨이(-0.8%)에 이어 15개국 중 세 번째로 높았다.

한국에 이어서는 인도네시아(-2.1%), 스웨덴(-2.8%), 미국(-3.5%), 일본(-4.8%), 독일(-5.0%), 프랑스(-8.2%)가 순이었다. 영국(-9.9%)과 스페인(-11.0%)은 -10% 안팎의 큰 역성장을 기록했다.

관광 등 서비스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국가는 코로나19 충격을 많이 받았지만 중국과 한국은 제조업 비중이 높아 상대적으로 충격이 덜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노르웨이는 중국처럼 제조업 비중이 높은 것은 아니나 인구 10만명 당 확진자 수가 유럽에서 핀란드 다음으로 가장 적게 나타나는 등 방역 조치 덕을 봤다.

OECD 결과 발표에는 빠졌으나 초기 중국발 유입을 차단하며 코로나19 방역에 성공한 대만과 베트남은 2.98%와 2.91%를 각각 기록했다.

그러나 한국은 중국으로부터의 경제특수를 잃을 것을 우려해 중국 유입을 차단시키지 않은 탓에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인 1998년(-5.1%) 이후 22년 만에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고 말았다.

작년 코로나19가 중국 우한지역을 중심으로 발발하던 시기 대한의사협회 등 전문가들이 초기 ‘중국발 전면 입국금지’를 정부에 권고했으나 문재인 정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중국과 ‘운명 공동체’라고 말하며 끝까지 중국에서의 유입을 차단하지 않았다.

현재도 국내에서의 코로나19 확산세는 계속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이상의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이로 인해 식당, PC방을 비롯해 여러 업종에서 폐업하는 자영업자는 늘어가고 있고, 정부의 영업제한 조치에 자영업자들의 인내심은 한계에 이르고 있다.

그나마 반도체 등 주력 업종이 살아나며 수출이 회복한 점도 한국의 역성장 폭을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난해 4∼5월 수출액은 20% 넘게 급락했으나 반도체 경기 덕에 11월(4.1%), 12월(12.6%) 연달아 플러스 성장했다.

정부 재정지출 영향도 있었다. 지난해 민간 부문의 성장 기여도는 -2%포인트였지만 정부는 1.0%포인트였다. 코로나19에 민간소비가 위축됐으나 추가경정예산 등 확장재정이 성장률 급락을 완화하는 데 일부 기여했다.

OECD는 지난해 12월 전 세계 50개 주요국의 2021년도 성장률을 전망했는데, 한국의 전망치는 2.8%로 29위다. OECD는 중국이 올해 8.0% 성장하며 50개국 가운데 성장률이 가장 높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해 역성장 골이 깊었던 프랑스(6.0%), 스페인(5.0%)은 기저효과 영향 등에 급반등할 것으로 나타났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