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경기가 불안정해짐에 따라 실업급여 신청자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1일 오전 서울 중구 장교동 서울지방고용노동청을 찾은 시민들이 실업급여설명회를 들은 뒤 직원들에게 개별상담을 받고 있다. ⓒ천지일보 2020.4.1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경기가 불안정해짐에 따라 실업급여 신청자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1일 오전 서울 중구 장교동 서울지방고용노동청을 찾은 시민들이 실업급여설명회를 들은 뒤 직원들에게 개별상담을 받고 있다. ⓒ천지일보 2020.4.1

전년보다 2배 이상 늘어
임시·일용직 등에서 많아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해 직장 폐업이나 정리해고, 사업 부진 등 비자발적인 이유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역대 처음으로 200만명을 넘어선 것이라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연합뉴스가 17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일을 그만둔 지 1년 미만인 비자발적 실직자는 219만 6천명이었다. 이는 같은 기준의 2019년 147만 5천명보다 48.9% 증가한 수치며 실업 통계 기준이 바뀐 2000년 이후 역대 최대치다.

동일한 기준으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여파의 2000년(186만명)과 글로벌 금융위기 영향이 있던 2009년(178만 9천명)에도 비자발적 실직자가 200만명 가까이 늘어난 적이 있지만 이를 넘어선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비자발적 실직자란 ‘직장의 휴업·폐업’ ‘명예퇴직·조기퇴직·정리해고’ ‘임시적·계절적 일의 완료’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 등 노동시장적 사유로 직장을 그만둔 사람을 의미한다. 가사, 육아, 심신장애, 정년퇴직, 급여 불만족 등 자발적 이유로 일을 그만둔 사람은 포함되지 않는다.

지난해 비자발적 실직자 219만 6천명의 실직 사유 중에는 ‘임시적·계절적 일의 완료’가 110만 5천명으로 절반 정도를 차지했고,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이 48만 5천명으로 뒤를 이었다. ‘명예퇴직·조기퇴직·정리해고’는 34만 7천명, ‘직장의 휴업·폐업’은 25만 9천명이었다.

2019년과 비교하면 특히 직장이 문을 닫거나 퇴직·해고로 비자발적 실직을 한 사례가 배 이상 늘었다. ‘직장의 휴업·폐업’은 149.0%, ‘명예퇴직·조기퇴직·정리해고’는 129.8% 각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과 ‘임시적·계절적 일의 완료’는 각각 42.6%와 25.6% 증가했다.

또 비자발적 실직자 중 실직 이후 계속 구직활동을 해 실업자로 분류된 사람은 59만 8천명이었으며, 구직을 단념하거나 그냥 쉬는 등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된 사람은 159만 8천명이었다.

지난해 비자발적 실직자 중에는 취약층의 비중이 특히 컸다. 실직 전 종사상 지위는 임시근로자가 40.3%(88만 5천명)로 가장 많았고 일용근로자가 23.2%(51만명)로 그다음이었다. 상용근로자는 18.2%(40만명)였다. 자영업자 중에는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9.6%(21만명)로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1.9%(4만 1천명)보다 많았다.

그만둔 직장의 종사자 규모로 보면 1∼4명이 44.5%(97만 7천명), 5∼9명이 20.8%(45만 7천명)였다. 즉 전체 비자발적 실직자의 65.3%가 10명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을 다니다 일을 그만둔 것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