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 2020.12.20

[천지일보=박선아 기자]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내어/ 춘풍(春風)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어른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비구비 펴리라’

조선 최고의 기생 황진이가 지은 시조 ‘동짓달 기나긴 밤’입니다.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동짓달의 밤 한 허리를 베어내서 그리운 임이 오신 날 밤에 ‘구비구비’ 펴겠다는 발상이 참신하면서도 낭만적입니다. 시조에서도 보이지만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을 동지라고 합니다.

동지는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로 일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보통 양력 12월 22일이나 23일 무렵이며, 올해는 12월 21일입니다.

동짓날 팥죽을 쑤어 먹는 풍속은 팥의 붉은색이 양색이므로 음귀를 쫓는 데 효과가 있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팥죽을 만들면 먼저 사당에 올려 ‘동지고사’를 지내고, 각 방과 장독, 헛간 같은 집안의 여러 곳에 놓아두었다가 식은 다음에 식구들이 모여서 먹었습니다.

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의 뜻이고 집안 곳곳에 놓는 것은 축귀의 뜻이어서 이로써 집안에 있는 악귀를 모조리 쫓아낸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양력으로 동지가 음력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라고 부릅니다.

동지라고 해도 애동지에는 팥죽 대신 팥시루떡을 해먹었는데, 이는 애동지에 팥죽을 쑤어 먹으면 삼신할머니가 아이들을 돌보지 못해 아이들이 병에 잘 걸리고 나쁜 일이 생긴다는 속설 때문입니다. 노동지에는 팥죽을, 중동지에는 팥떡이나 팥죽 중 하나를 해서 먹었습니다.

올해는 동지가 음력으로 11월 7일에 있어 애동지가 됩니다. 민간의 풍속대로라면 팥죽 대신 팥시루떡을 해먹는 날입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