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바 서울=연합뉴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이 평가한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우리나라가 세계 22위를 차지, 작년보다 한 계단 상승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한번 더 경신했다.

IMD가 17일 공개한 `세계경쟁력연감 2011'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종합 국가경쟁력은 조사 대상 59개 국가 및 지역 경제 가운데 22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9년 27위에서 2010년 23위로 4계단 상승한 데 이어 올해 1계단 추가 상승한 것이다.

IMD가 평가한 한국의 종합 국가 경쟁력 순위는 ▲2003년 32위 ▲2004년 31위 ▲2005년 27위 ▲2006년 32위 ▲2007년 29위 ▲2008년 31위로 등락을 반복하다가 이후 3년 연속 상승하면서 1997년 IMD의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미국과 홍콩이 공동으로 1위를 차지했고, 지난해 1위였던 싱가포르는 3위로 내려앉았으며, 스웨덴과 스위스, 대만, 캐나다, 카타르, 호주, 독일 등이 상위 10걸에 이름을 올렸다.

일본은 2009년 17위에서 지난해 27위로 10계단 하락했다가 올해 1계단 상승한 26위를 차지했다.

조사 대상국 가운데 최하위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베네수엘라였고, 재정 위기를 겪고 있는 그리스가 46위에서 56위로 10계단 급락했다.

4대 부문별 한국의 순위는 정부효율성(2010년 26위→2011년 22위)이 개선됐지만 경제성과(21→25위)는 물가와 국제투자가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면서 하락했다. 기업효율성(27→26위)과 인프라구축(20→20위)은 큰 변화가 없었다.

세부 분야별로는 과학인프라(4→5위), 고용(4→6위), 재정정책(13→11위), 국내경제(10→12위), 국제무역(22→16위) 등의 순위가 높았지만 국제투자(50→53위), 물가(41→52위), 기업관련 법규(44→44위) 등은 하위권에 머물렀다.

기업관련 법규에서는 관세장벽(54위)과 보호주의(51위)가, 사회적 여건 중에서는 노령화(50위), 국내경제에서는 생계비지수(51위), 경영활동에서는 이사회의 경영감시기능(55위), 노동시장에서는 노사관계 생산성(53위) 등이 약점으로 평가됐다.

반면 장기실업률(1위), 상품수출액(7위), 외환보유고(6위), 연평균 근로시간(2위), 기업가정신(6위), 고등교육 이수율(2위) 등은 강점으로 분석됐다.

이번에 발표한 정부-기업 간 효율성 격차를 보면 한국은 정부효율성(22위)이 기업효율성(26위)보다 순위가 높고 상대적으로 양자 간 격차가 적은 것으로 평가됐다.

IMD는 올해 한국의 정책과제로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속적 성장 ▲인플레 완화와 노동자 생활수준 향상 ▲공공부채 관리를 통한 재정건전성 향상 ▲공공부문 공정성ㆍ투명성 제고 등을 제시했다.

IMD가 1989년부터 발표해 온 `세계경쟁력연감'은 해당 국가·지역 경제의 공식 통계(3분의 2)와 민간기업 경영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3분의 1)를 분석, 국가 경쟁력 순위를 도출한다.

IMD 보고서는 기업인 시각에 치우치고 일부 항목의 경우 경쟁력 지표로 삼기에 불합리하다는 지적도 있으나, 같은 스위스의 싱크탱크인 세계경제포럼(WEF)의 `국가별 경쟁력 평가 보고서' 등과 함께 각국의 경쟁력을 비교해 파악할 수 있는 자료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작년 9월 발표된 WEF의 국가경쟁력 지수에서 한국은 3년 연속 하락하며 평가 대상 139개 나라 가운데 22위를 기록, 2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