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3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 전 악수를 하고 있다. (출처: 뉴시스) 2019.12.23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3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 전 악수를 하고 있다. (출처: 뉴시스)

韓정부 관계자 인용 보도

“양국 간 논의하는 것 없어”

“한중일 정상회담도 어려울 듯”

전문가 “코로나 꺽여야 방한 가능”

“한일관계, 당분간 최악 국면 전망”

[천지일보=김성완 기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연내 한국 방문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등을 이유로 보류되는 방향으로 진행 중이라는 일본 현지 언론의 보도가 15일 나왔다.

물론 일본 언론의 반응이 아니더라도 최근 또다시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자 우리 외교가에서도 ‘연내 시 주석 방한이 힘들지 않겠느냐’라는 얘기가 일찌감치 흘러나왔다.

◆“코로나19 여파로 맞이할 상황 아냐”

요미우리신문 이날 익명의 한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시 주석의 방한과 관련해 “양 정부가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관계자는 “한국이 12월 들어 코로나19 3차 유행에 돌입하는 등 확산하고 있어 시 주석과 대규모 수행 대표단을 맞이할 상황은 아니다”라며 “새해에도 방한이 곤란하지 않을까 한다”고 내다봤다.

이와 함께 “한국이 의장국을 맡아 연내 예정됐던 한중일 정상회의도 한일 관계 등을 이유로 개최가 보류되고 있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신문은 “한국은 시 주석의 방한이 성사되면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인 ‘사드’ 도입을 계기로 중국이 취한 보복 조치들, 이른바 ‘한한령’을 푸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반면 중국은 시기를 잘 살펴서 사드 문제를 활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분석했다. 다시 말해 한국과 중국이 동상이몽을 꿈꾸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이 같은 이유로 중국은 시 주석의 연내 한국 방문이 시기상조라고 판단하고 있다”며 “미국에서 조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한 뒤 한국 방문 시점을 확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는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시 주석 방한 여부에 대한 질문에 “한중 양측은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되면 여건이 갖춰지는 대로 시 주석의 방한을 조기에 추진한다는 근본적인 방침에는 공감한 상황”이라면서 “다만 그 구체적 방한 시기는 아직까지 정해진 게 없다”고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또 한중일 정상회의 보류 여부를 놓고서도 “정부는 금년도 한중일 협력의 의장국으로서 일본 및 중국 등 유관국과 함께 조기 정상회의 개최 등 필요한 협력 추진을 위해서 계속 소통하고 있다. 하지만 시기 등은 결정된 바가 없다”고 거듭 밝혔다.

작년 중국 제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제2차회의가 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을 비롯한 최고지도부와 2900여명의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막했다. (출처: 뉴시스)
작년 중국 제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제2차회의가 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을 비롯한 최고지도부와 2900여명의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막했다. (출처: 뉴시스)

◆외교부는 말 아껴

여전히 우리 외교 당국은 말을 아꼈지만, 현재의 코로나19 확산세나 물리적으로 볼 때 ‘연내 시 주석의 방한이나 한중일 정상회담이 사실상 무산된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우수근 콘코디아 국제대학교 대외교류 부총장은 천지일보와의 통화에서 “왕이 외교부장 때도 재차 확인했듯이 한중 양국이 시 주석 방한에 공감대를 이루고 있는 만큼 변수는 오직 코로나19뿐이었다”면서 “그런데 최근 국내 확산세가 다시 치솟고 있어 사실상 연내 성사는 물건너갔다고 봐야한다. 올해가 2주 남은 상황에서 시간상으로도 쉽지 않은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격화되는 미중 갈등 국면에서 중국은 한국에 손을 내밀려고 하고 있고, 한국은 경제적 협력이라는 측면에서 한한령 해제를 기대하는 등 양국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있는 상황인 점을 감안하면 코로나19 확산세가 꺾어질 경우 조만간 시 주석의 방한이 성사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중일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서도 “한일 간 강제징용 문제 등 현안에 대한 입장차가 큰데다 어느 쪽도 국내 정치 지형 상 양보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면서 “양 정상 간 정치적 결단 등 뭔가가 없는 한 한중일 정상의 만남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한일관계도 당분간 이 같은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내년이 더 걱정이다. 강제징용 관련 일본 기업 자산 현금화, 후꾸시마 원전수 방류 문제 등으로 한일관계는 최악으로 치달을 수 있다”며 “양국 간 일정한 냉각기를 거쳐야 관계 복원 등 정상화 얘기가 나올 텐데, 이런 분위기라면 내년 상반기는 지나야 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출처: 외교부 홈페이지)
(출처: 외교부 홈페이지)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