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플라스틱 폐자원 순환 기술. (출처: 뉴시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바이오플라스틱 폐자원 순환 기술. (출처: 뉴시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천지일보=정인선 기자] 정부가 플라스틱보다 빠르게 분해되는 ‘바이오플라스틱’ 개발·보급에 속도를 낸다. 고부가가치 품목을 발굴해 연구개발(R&D) 지원을 강화하고 유망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에 3년간 최대 30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열린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범부처 바이오산업 혁신 태스크포스(TF)가 마련한 ‘화이트바이오 산업 활성화 전략’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화이트바이오는 기존 화학산업의 소재를 식물 등 재생 가능한 자원을 이용하거나 미생물, 효소 등을 활용해 바이오 기반으로 대체하는 산업을 말한다.

최근 미국, 유럽연합(EU) 등 선진국에서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해결, 탄소 저감 등을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는다.

화이트바이오의 핵심인 바이오플라스틱은 옥수수와 같은 식물 바이오매스 등을 이용해 만든 플라스틱으로 자연에서 분해되지 않는 일반 플라스틱과 달리 토양 중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돼 친환경적이다.

국내에서는 SK, LG화학 등 석유화학 기업과 CJ제일제당 등 발효전문 대기업을 중심으로 관련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나 일반 플라스틱보다 가격이 2∼3배 높고 국내 시장이 협소한 탓에 사업화 진전 속도가 더딘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수요 창출 지원, 규제 개선, 기반 구축 등을 통해 민간 투자를 이끌어낼 계획이다.

이번 전략의 주요 내용을 보면 기존 플라스틱 대체 소재로 주목 받고 있는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개발을 위한 소재 제품화와 신규 소재 발굴에 대한 지원이 확대된다.

실증 사업을 통해 개발·보급·확산 전 과정에서 효용성을 검증하고, 단계적으로 도입을 확대해 대규모 수요를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예를 들어 음식물 용기, 일회용 수저를 많이 사용하는 스포츠시설과 공연장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실증 사업이 추진될 수도 있다.

농업용 필름, 어망·어구 등 농어업 용품에 적용되는 바이오플라스틱에 대한 연구도 지자체와 함께 실시한다.

일부 도시에서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 등에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사용이 시범 도입된다. 결과에 따라 지역과 제품 범위도 확대된다.

정부 인증 시험 평가 방법도 다양화되며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에 특화된 시험평가기관도 만들어진다.

아울러 시장 확대 속도에 맞춰 소규모 생분해 처리 실증부터 쓰레기 처리 체계까지의 단계적인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사용 지원 로드맵을 마련할 계획이다.

관계 부처 협의를 통해 이산화탄소 저감, 퇴비 처리 등 바이오매스 기반 플라스틱 중심으로 품목을 추려 재정 지원 방안 등도 검토한다.

산업부는 화이트바이오 산업의 고부가가치 제품을 중심으로 공급망 강화에 나선다.

합성생물학 등 바이오 신기술 활용 균주개발 및 제품 고도화 지원, 의료·화장품용 신소재 개발, 석유계 프리 천연 가소제 제품화 지원 등이 대표적인 제품화 연구개발(R&D) 사업이다.

유전자가위 등 바이오 신기술에 적용되는 규제도 개선해 신기술 개발에 속도를 붙일 계획이다.

바이오 기술과 화학 공정 기술 분야를 모두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화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인력 양성 사업도 마련된다. 기존에 없던 제품이 많은 만큼 특허 창출과 판로 개척에 대한 지원도 이뤄진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