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출가한 승려들이 여름동안 한곳에 모여 외출을 금하고 오직 수행에 집중하는 하안거(夏安居) 정진이 시작됐다.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불자들이 108배 등 불교의식으로 기도하고 있다. ⓒ천지일보 2019.5.19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출가한 승려들이 여름동안 한곳에 모여 외출을 금하고 오직 수행에 집중하는 하안거(夏安居) 정진이 시작됐다.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불자들이 108배 등 불교의식으로 기도하고 있다. ⓒ천지일보 2019.5.19

승려들 한곳에 모여 외출 금하고 수행정진
“언젠가 한 찰나에 대광명 반드시 얻을 것”

[천지일보=이지솔 기자] 불기 2564년, 불교계가 겨울 집중수행 기간인 동안거(冬安居) 결제(結制)를 맞아 29일부터 전국 불교 선원에서 석 달간 안거에 돌입했다. 2600년 동안 이어져온 안거는 출가한 승려들이 한곳에 모여 외출을 금하고 수행하는 제도다.

외부와 출입을 끊고 참선수행에 전념할 스님들을 위해 불교 주요 종단 지도자들은 이날 일제히 동안거 결제 법어를 발표했다.

한국불교 대표 종단 대한불교조계종 종정(종단의 정신적 지주) 진제스님은 “석 달 동안은 모든 반연(攀緣)을 다 끊고, 삼시 세끼 먹는데 초연하고, 오직 화두를 챙겨 팔만사천 모공(毛孔)에 의심이 사무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제스님은 “혼신의 노력을 하다 보면 문득 참의심이 발동해 화두 의심 한 생각만이 또렷이 드러나서 흐르는 시냇물처럼 끊어짐 없이 흘러가게 되니 이때는 사물을 보아도 본 줄을 모르고, 소리를 들어도 들은 줄을 모르게 돼 다겁다생(多劫多生)에 지어온 모든 습기(習氣)가 다 녹아 없어져 버리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상태로 시간이 흐르고 흐르다가 홀연히 사물을 보고, 소리를 듣는 찰나에 화두가 박살이 남과 동시에 자기의 참모습이 환히 드러나게 된다”고 했다.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두 번째 종단 한국불교태고종 종정 지허스님은 “안거를 인정하고 화두 하나에 철저히 용맹정진하다 보면 언젠가 한 찰나에 격외의 대광명을 반드시 얻게 될 것”이라고 설법했다.

이어 “우리는 불교라는 둥우리 안에 결제라는 과정 속에 있다”며 “자신이 얼마나 컸는지 돌아보며 화두(話頭)의 비검을 들고 만반사견(萬搬私見)을 하나도 없이 쳐버리고 나면 어느 닭이 됐건 다른 어미닭의 날카로운 부리가 됐건 껍질을 쪼아 대 자유천지를 입 없이 삼켰다 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안거의 유래는 우기(雨期)인 여름철에 수행자들이 돌아다니며 수행을 하다가 폭풍우를 만나 피해를 보기도 하고, 또 이를 피하고자 초목과 벌레들을 살생하는 일이 많았다. 생명을 보존하고자 이 시기에는 아예 외출을 금하고 수행에만 몰두하던 데서 유래됐다.

한국에서는 기후 조건에 따라 여름의 3개월과 겨울의 3개월 동안을 안거 기간으로 삼게 됐는데, 안거를 시작하는 것을 결제(結制)라 하고 끝내는 것을 해제(解制)라 한다.

한국 불교에서는 음력 4월 15일 결제에 들어가 7월 15일 해제하는 하안거와 음력 10월 15일에 결제해 다음 해 1월 15일에 해제하는 동안거를 채택하고 있다.

몇 안거를 났느냐 함이 곧 승려의 수행 이력이 되기도 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