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광양제철소 1고로에서 쇳물이 생산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포스코 광양제철소 1고로에서 쇳물이 생산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손지하 기자]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폭발 사고가 일어나 3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24일 소방당국과 광양제철소에 따르면 오후 4시 2분께 전남 광양시 금호동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폭발 사고가 일어났다.

이 사고로 당시 현장에서 일하던 포스코 직원 A(40)씨와 협력업체 직원 B(32)·C(53)씨 등 작업자 3명이 숨졌다.

광양제철소 측은 당시 1고로 부대설비인 산소 배관 설비에서 작업하던 중 균열을 통해 산소가 강하게 방출되면서 불이 난 것으로 추정되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20여분 만에 자체적으로 불길을 잡았으나 2명은 이미 심정지 상태였다. 소방대원들은 2시간 동안 수색해 숨진 작업자 1명을 추가로 찾아냈다.

소방당국은 고압가스 취급 중에 일어난 사고로 보고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 폭발사고 현장 합동감식(광양=연합뉴스) 포스코 광양제철소 폭발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25일 오전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소방청, 고용노동부 관계자들이 합동감식을 하러 현장에 진입하고 있다. 지난 24일 오후 전남 광양시 금호동 포스코 광양제철소 페로망간(Fe-Mn·망간철) 공장에서 발전 장비를 시운전하던 중 폭발과 함께 불이 나 직원 A(54)씨 등 5명이 부상을 입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 폭발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25일 오전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소방청, 고용노동부 관계자들이 합동감식을 하러 현장에 진입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한편 광양제철소에서는 지난해 12월 24일에도 폭발과 함께 화재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연구원과 기술자 등 5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사고는 연구원들이 제철소에서 배출돼 버려지는 열에너지를 모아 다시 발전하는 배열발전 축열설비 연구과제를 수행하다가 시험 가동 과정에서 난 것으로 밝혀졌다.

수사 기관은 사전에 안전 대책을 세우지 않고 현장도 지키지 않은 연구 관련 안전 관리 책임자를 업무상 과실치상 혐의로 기소했다.

당시 폭발 충격으로 이순신 대교가 흔들렸다는 소식과 함께 쇳조각 등 파편이 공장 주변 도로에 날아들었다는 제보도 잇따랐다.

소방당국은 일시적으로 이순신 대교의 차량 출입을 통제했고 공장 주변 주민들에게도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해 7월 1일에는 정전으로 굴뚝에 설치된 안전장치인 블리더(bleeder)가 자동으로 열리는 바람에 불완전 연소한 가스가 외부로 나와 불꽃과 검은 연기가 하늘을 덮기도 했다.

불꽃과 연기 피어오르는 광양제철소(광양=연합뉴스) 1일 오전 9시22분께 전남 광양시 태인동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정전이 발생해 굴뚝에 설치된 안전장치인 블리더(bleeder)가 열리면서 불꽃과 검은 연기가 치솟고 있다. [독자 제공]
지난해 7월 1일 오전 9시 22분께 전남 광양시 태인동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정전이 발생해 굴뚝에 설치된 안전장치인 블리더(bleeder)가 열리면서 불꽃과 검은 연기가 치솟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